내용요약 성인인 된 후 1형 당뇨 진단 환자, 정신건강질환 발생 2배 올라
음주 및 약물 오남용, 우울증 등 질환 발생 위험 3~4배 증가
김재현∙김규리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삼성서울병원 제공
김재현∙김규리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삼성서울병원 제공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김재현∙김규리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연구팀이 성인이 된 후 1형 당뇨 진단을 받은 환자의 정신건강을 돌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연구를 발표했다. 해당 환자의 경우 일반인에 비해 정신건강질환 발병율이 2배 이상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재현∙김규리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연구팀은 이와 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밝혔다.

몸속에서 인슐린을 만들지 못하는 질환인 1형 당뇨는 평생 관리해야하는 만성 질환 중 하나다.

인슐린 주사로 관리해야하는 어려움과 어린 나이에도 비교적 많이 발병하는 특징으로 인해 1형 당뇨는 흔히 소아당뇨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자가면역질환인 1형 당뇨는 나이 불문하고 진단될 수 있는 질환으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 2021년 기준 전세계적으로 840만 명 이상 1형 당뇨를 진단받고 있으며, 2040년에는 1,350 ~ 1,740만명 사이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영국 바이오뱅크 데이터 평가에서는 1형 당뇨 환자의 42%가 31~60세로, 그만큼 성인 환자 관리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는 추세다.

반면 우리 사회 현실은 역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1형 당뇨에 대한 인식은 낙인 점수(stigma score: 점수가 높을수록 낙인 수준이 높음)기준 59점이다. 이는 호주 53점, 터키 47점, 덴마크 43점보다 높다. 이러한 사회 인식은 당뇨 환자들의 치료와 관리를 어렵게 만든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섭식 장애, 우울증, 불안과 같은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1형 당뇨 환자들은 혈당 조절도 힘들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1형 당뇨 성인 환자 76%는 정신건강 관련 지원을 받아본 적이 없다 보고된 바 있다. 사회적 인식 오류와 치료 사각지대에 놓인 1형 성인 당뇨 환자들에 대한 관심이 절실한 이유다.

김재현∙김규리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연구팀은 2009년 1월에서 2020년 12월 사이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이 된 후 1형 당뇨로 진단된 환자 1만 391명과 일반인 5만 1995명을 평균 7.94년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 성인이 된 후 1형 당뇨로 진단된 환자들과 일반인의 정신건강질환 발생률은 각각 1000인년 당 66명, 29명으로 1형 당뇨 성인 환자들이 2배 이상 더 높았다.

하위 분석에서 질환별위험을 비교한 결과, 성인이 된 후 1형 당뇨로 진단된 환자들이 일반인 보다 음주와 약물 오남용은 4배, 우울증 3배, 성격과 행동 장애 2.6배, 기분 장애와섭식 장애 2.5배, 불안과 스트레스 장애 1.9배로 발생 위험이 더 높았다. 

김재현 교수는 “1형 당뇨 성인 환자들이 힘든 치료 과정 속에서 정신적으로도 건강을 잃어가는 모습을 볼 때면 항상 안타깝고 마음이 아프다. 사실 하이브리드폐루프 시스템과 같이 외부 노출 없이 혈당 모니터링과 인슐린 주사가 가능한 치료도 있지만 (가격이 비싸고 접근성이 낮아) 모든 당뇨 환자들이 할 수 있는 치료가 아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러한 기술들이 사실 정신건강 질환을 앓고 있는 1형 당뇨 환자에게 특히 필요하다”며 “하루 빨리 사회적 인식과 치료 시스템이 개선돼 1형 당뇨 성인 환자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당뇨병과 신진대사 (Diabetes & Metabolism)’ 최근호(IF 7.2/2022년 기준)에 게재됐다.
 

이소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