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17일 군산항에서 식량원조 규모 2배 확대 첫해 기념행사 개최
아프리카·아시아·중동 11개국의 난민, 영양결핍상태 취약계층에 지원
아프리카 우간다 북서부 내 비디 비디 난민촌의 남수단 난민 여성이 배급받은 식량을 머리에 이고 있다. / 연합뉴스. 
아프리카 우간다 북서부 내 비디 비디 난민촌의 남수단 난민 여성이 배급받은 식량을 머리에 이고 있다. / 연합뉴스.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17일 전북 군산항에서 유엔 세계식량계획(World Food Programme)을 통한 식량원조 규모 2배 확대 첫해를 기념하는 출항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출항식은 지난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후속 조치로 식량원조 물량을 올해부터 두 배로 확대(5만톤 → 10만톤)하고, 지원국가도 아프리카 등 11개국으로 확대 지원하는 첫해를 기념하기 위한 자리다.

우리나라는 2018년부터 유엔식량원조협약(Food Assistance Convention)에 가입해 매년 5만톤의 쌀을 아프리카 등 5개국에 지원해 왔다. 올해는 라오스를 제외하고 아프리카 5개국(기니비사우·마다가스카르·모리타니·모잠비크·시에라리온·우간다·에티오피아·케냐)과 방글라데시, 아프카니스탄, 예멘 등 11개국에 3개월 간 약 260만명의 난민, 기아 등 영양결핍 상태에 있는 취약계층을 지원할 수 있는 규모인 쌀 10만톤을 지원한다.

이번 군산항에 선적된 1만5000톤의 쌀은 내달 3일 방글라데시로 출항해 8월부터 콕스바자르 및 바샨지역 로힝야 난민(116만명)에게 공급될 예정이며, 목포·울산·부산신항에서도 8만5000톤의 쌀이 6월말까지 출항해 11개국에 순차적으로 지원된다.

이와 함께 농식품부는 쌀 생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프리카 국가를 대상으로 벼 종자 생산단지를 조성해 수확량이 높은 벼 종자를 생산하고 농가에 보급하는 케이(K)-라이스벨트 사업도 추진 중에 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우리나라는 반세기만에 식량원조국에서 공여국으로 발전한 세계에서 유일한 국가로 식량원조뿐만 아니라 케이(K)-라이스벨트 사업도 지속 확대해 국제사회 일원으로서의 역할과 의무를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라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