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전공의협의회 의사 86%, 단체행동 참여
노조 "필수·지역의료 살리기 역행"
의과대학. /연합뉴스
의과대학. /연합뉴스

[한스경제=변동진 기자] 의과대학 증원과 관련해 정부 및 시민단체와 의사단체 간 마찰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전공의 집단에서 단체행동 의사를 밝혀 논란이다. 이에 대해 보건의료 분야 관련 노동조합은 “국민을 협박하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 23일 ‘대전협 단체행동 설문 결과에 대한 입장문’을 통해 “의대 증원 규모에 대한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대전협이 단체행동 참여 여부에 대한 설문 결과를 발표한 의도가 의심스럽다”며 “의대 정원 증원은 의사 단체 빼고는 모든 국민이 찬성하는 국가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증원을 막기 위해 단체행동에 나서겠다는 건 붕괴 위기의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살리기에 역행하고, 응급실 뺑뺑이 사망사고와 소아과 오픈런에 내몰리는 국민의 고통을 외면하는 처사”라고 꼬집었다. 

보건의료노조는 간호사 등 보건의료 분야 각 의료직역 종사자가 참여하고 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지난 22일 수련병원 55곳, 전공의 4200명을 대상으로 정부의 일방적인 의대 증원 시 파업 등 단체행동에 참여할지를 설문한 결과를 공개했다. 

대전협에 따르면 응답한 전공의의 86%가 참여 의사를 밝혔다. 이 단체에 소속된 전국의 전체 전공의는 1만 5000여명이다.

박단 대전협 회장은 “전체 전공의 1만 5000여명 중 4200여명이 참여한 일부 수련병원에서 실시한 자체 조사 결과”라면서 “정부와 의료계가 공동 거버넌스를 구축해 정확한 의사 수급 추계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설문조사 참여 비율이 전체 전공의 수에 비해 28%, 전체 수련병원 200곳 중에서도 27.5%에 불과하다”며 “단체행동 86% 참가 결정이 전체 전공의의 입장인지 의심스럽다”고 힐난했다.

이어 “대전협은 ▲의사 부족으로 인한 불법 의료와 의료사고 위험 ▲긴 대기시간 ▲만족스럽지 못한 진료 ▲번아웃으로 내몰리는 열악한 전공의 근무 환경 등을 언제까지 외면할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또 “절대적으로 부족한 의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의대 정원을 늘리고, 늘어난 의사들이 필수의료·지역의료에서 근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게 합리적인 해결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현재 고등학교 2학년들이 대입을 치루는 2025학년도를 목표로 의대 정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교육부가 매년 4월 대학 입학 정원을 확정하기 때문에 내년 4월 전에는 의대정원 확대 규모가 결정돼야 한다.

변동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