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청약홈 살펴보니…60가구 모집에 0건·209세대 공급됐는데 2건 접수 ‘처참’
아파트 공사현장. (사진=연합뉴스)
아파트 공사현장.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문용균 기자]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재무 개선 작업)이 11일 성사됐으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에 대한 건설업계의 위기감은 여전하다. 올해도 분양 시장 침체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수요자가 선호하는 상품인 아파트 시장조차 이런 분위기가 지속될 경우 건설사들의 유동성 위기, 소규모 업체의 폐업이 지속될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14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 들어 전국에서 청약 접수(1·2순위 모두 포함)를 진행한 단지는 13곳이다. 이 가운데 중흥건설이 인천 검단신도시에서 선보인 ‘검단 중흥S-클래스 에듀파크’, 포스코이앤씨가 짓는 ‘더샵 탕정인피니티시티(충남 아산)’ 정도를 제외하곤 신통치 못한 성적표를 받았다. 1순위 마감이 귀한 상황이다. 

특히, 대형건설사가 아닌 몸집이 상대적으로 작은 곳들이 시공하는 단지의 흥행 참패가 이어졌다. 일례로 만송종합건설이 시공하는 ‘후포 라온하이츠’(경북)는 지난 8일부터 9일까지 청약 접수를 진행했지만 1개의 통장도 접수되지 않았다. 60가구가 고스란히 미분양 물량이 된 것이다. 

보해토건과 도아종합건설이 부산 사상구 괘법동 일원에 짓는 ‘보해 썬시티 리버파크’는 208가구 모집에 17개의 청약통장만 접수됐다. 1가구만 공급됐던 전용 52㎡B 주택형만 미달을 면했다. 

또한 진산건설이 시공하는 ‘덕계역 진산 블루시엘(경기)’은 지난 2일부터 3일까지 54가구의 청약 접수를 실시했으나 20개의 통장만 접수됐고 지난 9일부터 10일까지 1·2순위 청약 접수를 받은 남광토건이 짓는 ‘안성 하우스토리 퍼스트시티(경기)’는 468가구 공급에 14건만 접수됐다.  

대형건설사가 시공하고 수도권에 위치한 단지도 일부가 미달됐다. 지난 4~5일 1·2순위 청약 접수를 실시한 ‘광명자이힐스테이트SKVIEW(경기)’ 전용 34㎡A 호실은 101가구가 공급됐으나 완전판매(완판)되지 못하고 11가구가 미달됐다. 

워크아웃을 신청한 태영건설은 지난해 11월 분양했던 경기도 의왕시 ‘오전 나구역’ 532세대의 분양률이 60%에 그쳤고, 구미 꽃동산 아파트 1350세대도 17%로 부진했다. 업계에선 공격적인 확장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많은 건설사들은 부동산 경기가 좋을 때 사업성을 담보로 자본을 조달하는 PF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2020년 말 92조5000억원이었던 부동산 PF 대출잔액이 지난해 9월 기준으로 134조3000억원까지 늘어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너도나도 적극적이었다.

문제는 시장이 침체되면서 시작됐다. 최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은 건설동향 브리핑 보고서에서 부동산 PF 대출 잔액의 절반 이상인 70조원이 부실화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건산연은 지난해 상반기 중 증권사 등 제2금융권에서 취급한 PF 만기 연장비율이 브릿지론(시공·인허가 전 자금 조달)의 70%, 본 PF(시공 결정 이후 자금조달)의 50%라며 모두 71조원이 부실화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건산연은 PF 대출규모로 추산한 70조원과 관련해 “분양대금이나 토지 공매 등을 통한 회수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극단적 예상치”라면서도 “부동산 시장 회복이 지연될 경우 부실 발생 규모는 예상 밖으로 매우 클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개별 건설사 중 PF 우발채무로 인한 유동성 위기 가능성이 있다고 거론되는 업체 중엔 이름이 잘 알려진 곳들이 있다. 코오롱글로벌의 경우 미착공 PF 우발채무 규모가 6121억원(지난해 8월 말 기준·한기평)로 추산된다.

한기평은 코오롱글로벌에 대해 “PF 리스크가 현실화할 경우 자체 현금을 통한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고 평가한 바 있다. 신세계건설의 경우도 부채비율이 400%가 넘는 상태다.

최근 건설업계 분위기와 관련해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부동산 시장이 좋았을 때 사업장을 면밀하게 분석하지 않고 무리하게 확장한 곳들이 많다”면서 “태영건설과 같은 사례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꼬집었다. 이어 “선별 수주가 그래서 중요하다”면서 “중소규모 업체들의 폐업이 이어지며 우량 업체와 그렇지 않은 업체가 가려지는 시기가 될 것”이라고망했다. 

문용균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