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석 신임 사장, “최적의 연구 환경 갖춘 차세대 전동화 기술의 전략거점”
[한스경제=김우정 기자] 현대모비스가 현대차그룹 의왕연구소 내에 ‘전동화 연구동’을 신규 설립해 미래 모빌리티 핵심 영역인 전동화 사업의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현대모비스는 5일 ‘전동화 연구동’ 개소식을 진행했다고 5일 밝혔다. 새로 설립된 ‘전동화 연구동’은 전체 2만1600평 규모의 지하 4층~지상 5층으로 건축됐으며, 시험동과 품질분석동 등 부속 건물을 통해 연구개발뿐 아니라 시험 및 성능 평가, 품질분석 등 전동화 핵심 부품 개발을 위한 종합연구센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현대모비스에 따르면, 신규 ‘전동화 연구동’은 기존 경기도 용인 마북연구소와 의왕, 서산 등으로 분산됐던 전동화 분야 R&D 역량을 한데 모아 효율을 개선해 글로벌 전동화 시장 확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설립됐다.
현대모비스는 기존 마북연구소와 의왕연구소로 이원화해 운영할 계획이다. 마북연구소는 자율주행과 커넥티비티, 샤시안전 등 핵심부품 개발을 주도하고, 의왕연구소는 전동화 부품 기술 개발과 시험, 성능 평가에 특화해 운영할 방침이다. 특히 현대모비스는 R&D 성과를 실제 차량에 적용해 성능과 신뢰성을 평가하는 서산주행시험장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전동화 연구동 설립을 계기로 전문 연구 인력을 지속해서 확충할 계획이다. 현재 현대모비스는 전 세계 9곳에서 전동화 생산 거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와 북미, 인도네시아 등에서 6곳의 전동화 생산 거점을 신규 구축 중이다.
현대모비스는 “향후 현지 생산 거점의 안정적 운영과 확충, 차세대 기술 확보 등을 통해 전동화 분야 사업 경쟁력을 지속 강화하고 글로벌 수주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개소식에는 참석한 현대모비스 이규석 신임 사장은 전동화를 중심으로 한 미래 성장 방향을 강조했다.
이 사장은 “전동화 연구동은 최적의 연구 환경을 갖춘 차세대 전동화 기술의 전략 거점”이라며 “전문 연구 인력을 중심으로 핵심 역량을 집중해 전동화 분야 혁신 기지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올해 CES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의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모빌리티 플랫폼 프로바이더’로 도약하겠다는 미래 전략을 밝힌 바 있다.
김우정 기자 yuting4030@sporbiz.co.kr
관련기사
- ‘차에서도 크고 선명하게’ 현대모비스, 차량용 QL디스플레이 세계 최초 개발
- 국내 완성차 업계, 미래차 맞이 준비 중...“특허, 비전통적인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확대”
- 현대모비스 대표이사에 이규석 사장, 현대제철 대표이사에 서강현 사장 선임
- 송창현 사장, “차량의 SDV 전환, 이동수단을 벗어나 더 가치있는 미래에 몰입하게 해”
- 현대모비스, 북미 전동화 투자금 9.4억불 확보...해외 첫 그린론 사례
- 무궁무진한 전기차 활용...소규모 전력공급으로 요금 줄이고, 편익 늘리고
- 현대모비스, 유럽서 전동화 필두로 3대 솔루션 제시...올해 수주목표 12.9억달러
- ‘버튼 하나로 눈길 거뜬’ 현대차·기아, 스노우 체인 일체형 타이어 기술 공개
- 현대차·기아, 혁신 연구개발 전담 조직 신설..."미래차 경쟁력 확보"
- 정의선 회장 “끊임없는 변화가 혁신의 열쇠”...로봇부터 UAM까지
- [CES 2024] 현대모비스, 제자리 회전 가능한 실증차 모비온 첫 공개
- 현대모비스, 운전자 맞춤형 ‘휴먼 센트릭 조명’ 개발
- 현대모비스, 작년 ‘역대 최대’ 매출액 59조2천억원...전년비 14.2% 증가
- 현대모비스, 전동화 덕에 작년 해외수주 10조 벽 넘었다
- ‘눈길에도 안전하게’...현대모비스, 스웨덴서 혹한기 성능 증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