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국의 기록 / 연합뉴스
매국의 기록 / 연합뉴스

[한스경제=이현령 기자] 최근 매국노 이완용(1858~1926)의 생가에 설치돼 논란이 된 비석이 설치 1주일 만에 철거된다.

28일 경기도 성남문화원은 지난 22일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의 한 유치원 인근에 250만 원을 들여 세운 이완용 비석을 이날 중으로 철거하기로 밝혔다. 이 비석은 이완용의 생가가 있던 자리에 설치됐다.

성남문화원은 예산 3000만 원을 들여 남상목 의병장, 판교역, 판교원 등 성남시 일대 역사 유적지 10곳에 역사적 장소를 표시하는 비석을 세웠다. 이완용 생가터 푯돌도 그중 하나다.

푯돌에는 “이완용은 1858년 백현리에서 가난한 선비 이호석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9세 때 일가인 이호준에게 입양됐다”는 기록과 “을사5적이자 정미 7 적”, “이토 히로부미를 ‘영원한 스승’으로 떠받들고 을사늑약 후 내각총리대신이 돼 매국 내각의 수반이 됐다” 등 이완용의 친일 행적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김대진 성남문화원장은 해당 비석에 대해 “이완용의 행적을 후대에 알려 다시는 매국노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며 “좋은 역사만 비석으로 세울 게 아니라 이완용 비석도 세워 경각심을 주자는 취지로 설치했다. 문화원은 역사를 있는 그대로 인식시켜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해당 비석이 일반 위인 기념비와 외관상 큰 차이가 없어 오해를 살 수 있다며 부적절한 설치라고 반발하고 철거를 요구했다. 이에 성남문화원 측은 해당 비석을 설치 1주일 만에 철거하기로 했다. 

이현령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