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박수연 기자] 화학사고가 매년 발생하고 있지만 막상 화학사고에 대비해 대응해야 하는 지자체는 무관심한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이주환 국민의힘 의원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매년 화학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사상자도 줄지않고 있는데, 지자체는 무관심하게 대응하고 있다"며 "화학물질안전원은 관리를 안하는 것인가, 관리 의무가 없는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이 화학물질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지역 화학사고 대응 계획 및 조례 재정현황'에 따르면 지자체는 지역 화학사고 대응계획과 화학물질 안전관리조례를 겸비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 두 가지를 모두 겸비한 지자체는 총 245곳 중 48곳(19.6%)에 불과했다.
앞서 지난 2020년 인천 남동구 소재 한 공장에서는 폭발사고가 발생해 3명이 사망하고 소방관을 포함해 6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인천 남동구 역시 안전관리 조례와 대응계획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올해 5월 경남 고성의 한국남동발전 삼천포 본부에서는 수산화나트륨이 유출돼 2명이 부상당했다. 역시 안전관리 조례와 대응계획은 없었다.
이와 관련 조은희 화학물질안전원 원장은 "대응계획을 세우는 것은 지자체가 해야할 일이기는 하지만 안전원에서도 지자체가 대응계획을 수립할 때 관련 자료나 지역 사업장 실태 등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조 원장을 향해 "5년 간 매년 사고가 줄지않고 있는데도 지자체는 무관심하다"며 "관리감독 의무가 있는 원장도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수연 기자 ddunip@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