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우주산업 동력 태양전지 효율성·가성비 높이고자 사내벤처 발족
플렉셀 스페이스-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협력
“양사 협력 통해 차세대 우주용 태양전지 상용화 앞당길 것”
(왼쪽부터)안태훈 한화시스템 전문연구원 겸 플렉셀 스페이스 대표와 김현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재생에너지 연구소장이 '우주용 탠덤 태양전지' 기술 개발 및 경량 박막 태양전지 상용화 협력 MOU를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한화시스템 
(왼쪽부터)안태훈 한화시스템 전문연구원 겸 플렉셀 스페이스 대표와 김현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재생에너지 연구소장이 '우주용 탠덤 태양전지' 기술 개발 및 경량 박막 태양전지 상용화 협력 MOU를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한화시스템 

[한스경제=조나리 기자] 한화시스템는 사내벤처 팀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연구단과 손잡고 차세대 우주용 태양전지 사업에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한화시스템 사내벤처 ‘플렉셀 스페이스(Flexell Space)’는 이날 오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 본원에서 CIGS와 페로브스카이트를 결합한 우주용 ‘탠덤 태양전지’(서로 다른 파장영역대의 태양광을 상호 보완적으로 흡수해 효율은 높인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 개발 및 경량 박막 태양전지 상용화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CIGS는 구리(Cu), 인듐(In), 갈륨(Ga), 셀레늄(Se) 등 4개 원소로 구성된 화합물(Cu(In,Ga)Se2)을 광흡수층 물질로 활용한 박막형 태양전지다. 생산 단가가 저렴하며 가벼우면서도 우수한 광 흡수가 특징이다.

페로브스카이는 ABX3의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결정구조로 이뤄진 물질을 광흡수층으로 사용하는 태양전지다. 용액공정으로 저렴하고 간단하게 대량 생산이 가능해 현재의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하고 우주에서도 사용 가능한 차세대 태양전지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한화시스템이 보유한 에너지연의 태양전지 기술을 결합, ∆우주용 탠덤 태양전지 공동개발 ∆태양전지의 제조공정 및 사업모델 구축 등을 협력한다.

플렉셀 스페이스는 우주용 태양전지 혁신기술 도입 및 탠덤 태양전지 개발을 위해 지난 9월 1일 발족한 한화시스템 사내벤처다. 한화시스템은 2021년부터 방산업체 최초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인 ‘프런티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초소형SAR 위성을 최초 국산화했으며, 저궤도 위성통신을 활용한 ‘우주 인터넷’ 사업에도 진출한 바 있다. 또한 위성 내 핵심 부품인 디지털 통신 중계기(OBP), 전자식 빔조향 안테나(ESA), 궤도상의 위성 간 통신을 위한 레이저 통신 시스템(ISL)도 개발 중이다.

안태훈 한화시스템 전문연구원 겸 플렉셀 스페이스 대표는 “위성·우주선 발사 산업의 발전을 위한 태양전지는 낮은 비용으로 기존 제품군 대비 가볍고 높은 출력을 제공해야 한다”면서 “에너지연과의 기술협력을 통해 차세대 태양전지 상용화를 앞당기고, 우주에서의 무수한 산업 기회를 포착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곽지혜 에너지연 태양광연구단장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고성능·유연·경량 ‘탠덤 태양전지’ 기술을 개발해 세계 최고효율을 기록한 바 있다”면서 “한화시스템과 태양전지 기술혁신에 주력해 우리나라의 에너지 신기술 역량을 입증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에너지연은 에너지 안보 및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산업원천기술을 연구·개발 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조나리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