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선배 기수들이 독식… 올 시즌은 무한 경쟁 구도
[한스경제=강상헌 기자] 2023년 경정 39회차를 지난 시점에서 다승왕 타이틀 경쟁에 불이 붙었다.
경정에서는 매년 2가지의 타이틀 경쟁이 펼쳐진다. 바로 상금왕과 다승왕 타이틀이다. 상금왕의 경우 연말 그랑프리 우승자에 따라 매년 순위가 바뀌어 왔다. 조금 부진하더라도 그랑프리 결과에 따라 역전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이에 반해 다승왕은 한 시즌 내내 꾸준함이 동반돼야 거머쥘 수 있는 타이틀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단축 시즌을 제외하고 역대 최다 다승왕은 7기 심상철이다. 3회로 다승왕 선두를 달리고 있다. 뒤를 이어 1기 이응석과 곽현성, 2기 김종민과 이재학, 4기 어선규, 12기 조성인이 각각 다승왕 2회를 기록했다. 역대 최다 승수는 2005년 서화모(1기)와 2006년 우진수(1기)가 기록한 49승이다. 50승은 여전히 전인미답의 고지로 남아있다.
이처럼 1년간의 꾸준함을 요구하는 다승왕 타이틀은 주로 선배 기수들이 독식해 왔다. 하지만 올 시즌은 판도가 바뀌었다. 그 어느 해보다 치열한 다승왕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올 시즌 다승왕 첫 번째 후보는 현재 시즌 33승으로 선두를 달리고 있는 김민준(13기)이다. 그는 13기를 대표하는 선수다. 지난해 쿠리하라배 우승 이후 더욱 안정감 있는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다. 올해는 스포츠경향배까지 석권하며 최고의 시즌을 보내는 중이다. 앞으로 남은 대상경주에서의 활약이 기대된다.
김완석(10기)도 뜨겁다. 올 시즌 32승을 기록한 그는 김민준을 1승 차이로 바짝 추격하고 있다. 생애 첫 다승왕 타이틀을 꿈꾼다. 올 시즌 플라잉으로 인해 앞으로 남은 대상경주 출전 자격은 상실했다. 하지만 2022년 스포츠경향배와 이사장배 우승 이후 한층 더 상승된 경기력으로 다승왕 타이틀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지금까지 여자 선수가 경정 다승왕 타이틀을 거머쥔 적은 없다. 하지만 올 시즌은 다르다. 손지영(6기)이 새 역사를 쓰고자 한다. 현재 30승을 달리고 있는 그는 여자 선수 한 시즌 다승 최고 기록인 32승(박정아·32기)을 무난히 넘어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5, 6코스에서 1착 확률이 저조하지만 기복 없는 스타트와 차분하고 노련한 1턴 전개를 앞세워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2년 연속 다승왕을 차지한 조성인(12기)의 기세도 만만치 않다. 29승으로 선두와 4승 차이를 유지 중이다. 특히 그는 모든 선수가 어려워하는 5, 6코스에서의 입상률이 높다. 언제든지 반등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선수다.
28승으로 5위를 달리고 있는 서휘(11기)의 행보도 주목할 만하다. 그는 지난 2019년 한 시즌에 24승을 쌓으며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올 시즌 4년 만에 자신의 최고 기록 경신에 성공했다. 이제는 30승 고지 및 다승왕 타이틀에 도전한다.
이서범 경정코리아 전문위원은 "선수들의 기량 평준화로 인해 50승 벽을 돌파할 선수가 나오기는 산술적으로 어렵다. 최근 5년 이내 기록을 감안할 때 45승 이상을 하면 다승왕 타이틀의 자력 획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선두를 달리고 있는 선수와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는 선수들이 남은 경기에서 펼쳐 보일 흥미진진한 진검승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강상헌 기자 ksh@sporbiz.co.kr
관련기사
- 경륜경정 임직원, 한가위 맞아 통 큰 기부로 어려운 이웃 돕기 나서
- 경륜경정총괄본부, 개천절 맞아 10월 3일부터 5일까지 3일 연속 경정 개최
- 이홍복 경륜경정총괄본부장, 하반기 광명스피돔 현장 안전점검 시행
- 후반기 경정, 절대강자 없다
- 경륜경정총괄본부, 안전한국훈련 연계 지진대피 및 화재 대응 훈련 실시
- 경륜경정총괄본부, 고객·근로자 안전소통창구 '안전메아리' 운영
- 경정, 정상급 기량 되찾아 가는 권명호·장영태·구현구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 경륜경정총괄본부, AI 아바타 아나운서 '케이온' 운영… 동종업계 최초
- 경륜경정총괄본부, 전문기관과 협업해 도박중독 예방 공동캠페인 전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