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통보제 제도화 중추적 역할
[한스경제=변동진 기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과 환경부와 대한민국 지식대상(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심평원은 지나 14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2회 대한민국 지식대상’에서 ‘지식행정 부문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이번 행사는 행정안전부가 주관하고 매일경제가 후원하는 올해 공공과 민간 부문 지식행정·경영 우수사례를 발굴·확산하기 위한 취지로 개최됐다. 올해 대한민국 지식대상에서는 전문가 심사와 온라인 국민 심사, 최종 발표 심사를 거쳐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 수상사 20곳이 선정됐다.
심평원은 지식경영 디지털 플랫폼 ‘히라넷’을 바탕으로 국내 모든 의료기관에서 출생한 영아와 관련한 진료 정보를 지자체와 연동하는 ‘심사평가정보제출시스템’을 구축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하게 됐다.
또한 보건의료 지식‧정보체계와 노하우를 적극 활용, ‘출생통보제’가 최근 국회 본회의를 통과 후 제도화되기까지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 성과도 인정받았다.
출생통보제는 모든 의료기관의 출생정보 제출을 의무화함과 동시에 심평원의 ‘출생정보 자동제출 프로그램’을 통해 지자체까지 자동 연계‧등록되도록 하여, 출생신고 미등록 위기아동을 선제적으로 발굴하는 제도다.
심평원은 출생통보제 제도화를 위해 의료기관 및 지자체와 연계된 전산망을 바탕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체 시스템을 적극 활용했다. 이를 통해 제도 시행에 필요한 예산과 시간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의료기관과 지자체의 행정적 부담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거뒀다.
강중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은 “출생통보제의 원활한 제도 시행을 위해 전담 조직과 인력을 배치하겠다”며 “최근 사회적 이슈였던 이른바‘유령 아이’가 더 이상 발생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대국민 서비스를 더욱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변동진 기자 bdj@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