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경총, 금융위에 '시기 재조정' 의견 전달
"시스템 구축에 수년 필요"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오는 2025년 예정된 ESG 공시 시기를 늦춰달라는 의견을 금융위원회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오는 2025년 예정된 ESG 공시 시기를 늦춰달라는 의견을 금융위원회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한국경영자총협회가 2025년 예정된 ESG(환경·사회·거버넌스) 공시 시기를 최소 3~4년 늦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업종마다 공시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존재하고, 시스템 구축에만 수년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경총은 ESG 공시 의무화 시기를 현실에 맞게 재조정해야한다는 내용의 의견을 금융위원회에 제출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6월 국제회계기준(IFRS)재단 산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으로 일반요구사항과 기후 관련 공시기준을 발표한 이후 금융위는 이 기준의 적용과 공시 의무화 일정을 담은 '국내 ESG 공시제도 로드맵'을 구상 중이다.

경총은 IFRS 공시 기준은 탄소 배출량 측정 범위가 너무 넓고, ESG 공시기준에 부합하는 원천 데이터 구축에 수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우려했다. 

IFRS 공시기준은 종속 회사를 비롯해 실질 지배력 없는 지분법 대상 기업들까지 탄소 배출량을 공시하도록 했다. 이는 인도, 동남아 등 상대적 ESG 관련 인프라에 취약한 개도국에 공급망을 구축한 국내 기업에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기업들이 IFRS 공시기준에 부합하는 원천 데이터를 전 세계 사업장에서 주기적으로 집계·검증할 전사 시스템을 구축하기까지는 물리적으로 상당한 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국내 탄소배출 시장이 협소한 상황에서 ESG 공시 의무화를 시행하게 된다면 기업에 과도한 비용이 부담되는 것도 시기를 늦춰야 하는 이유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이동근 경총 상근부회장은 "현재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도입 관련 구체적 로드맵을 제시한 국가는 금융업 중심의 싱가포르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라며 "지난 정부에서 2025년으로 예정한 ESG 공시 의무화 시기를 최소한 3~4년 정도 늦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라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