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권선형 기자] 한국과 호주의 첨단기술 협력이 본격화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에 따르면, 한국과 호주는 광물자원 중심의 전통적인 협력관계에서 CCS(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기술) 연구 등 탈탄소 사회 전환을 위한 핵심분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 마련된 ‘제44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에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강진원 박사는 “우리나라 연구개발 협력은 미국, 일본 등을 중심으로 이뤄졌으나 2010년경 이후 일본과의 협력 비중은 줄어들고 중국과 호주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라며, “한국과 호주가 연구협력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상호 강점 분야를 지속적으로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박용찬 박사는 탈탄소 전환을 위한 핵심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탄소 포집 및 저장(CCS) 분야의 협력사례를 소개하며 “고갈가스전과 대수층 CO2 주입 관련 기술을 개발해 온 지질자원연구원에게 호주와 CO2CRC는 최고의 연구 파트너”라고 밝혔다.
◆ 소재, 광물자원 협력하면 시너지
이차전지 등 친환경배터리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광물 협력에 힘써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호주 광물 탐사 기업 Arafura(Arafura Resources)의 개빈 로키어(Gavin Lockyer)는 호주 연방정부의 지원을 받는 놀란스(Nolans) 희토류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호주와 한국 기업들이 함께 참여해 현재 중국이 전세계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는 희토류 자원의 친환경적이고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포스코홀딩스 이경섭 전무는 “친환경 핵심산업인 이차전지의 공급망(supply chain) 구축의 골든타임을 향후 3년으로 보는데, IRA(미국 인플레감축법)와 CRMA(EU 핵심원자재법) 등으로 중국을 제외한 배터리 공급망 구축 협력이 필수적인 상황에서 한국과 호주가 협력하여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수소 중심 청정에너지 협력 강화
양국 기업이 수소를 중심으로 청정에너지 협력 기반을 넓혀가는 가운데 이를 위한 양국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고려아연 류재길 팀장은 호주가 자국 내 생산한 그린수소의 글로벌 공급 시장 선점을 돕기 위해 지원정책을 마련한 것과 관련해 “한국도 국내 기업들이 해외에서 직접 생산하고 도입하는 그린 수소 프로젝트에 대해 정부가 제도 및 재정 지원을 제공해, 안정적인 수소 공급원과 장기적인 에너지 안보를 선제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한-호 민간 부문에서 진행하는 그린 수소 생산 및 공급 프로젝트를 양국 공동 국책 사업으로 지정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밝혔다.
포스코홀딩스 조주익 전무는 “포스코는 호주와 그린수소 분야 협력 확대를 위한 첫 단계로 친환경 철강원료인 HBI생산에 필요한 그린수소 생산 프로젝트를 통해 2027년까지 HBI생산에 소요되는 연 2,000톤의 그린수소 생산설비를 준공하고, 2040년까지 100만톤의 그린수소 생산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선형 기자 peter@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