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슈퍼차저. /연합뉴스
테슬라 슈퍼차저. /연합뉴스

[한스경제=김근현 기자] 전기차 판매 경쟁 심화되자 테슬라가 모델Y 가격을 대폭 낮춰 전기차 보조금 100%를 수령하게 됐다. 판매량을 위해서 저가경쟁에 나선 모습인데 중국산 배터리를 사용하는 등 품질문제도 논란이 있을 전망이다.

그동안 수입차 브랜드들은 국내 보조금 수령 범위를 넘어서 상대적으로 고가의 전기차를 주로 출시했다. 하지만 최근에 가격을 낮추거나 성능이 향상된 신차를 내세우며 최대 100%까지 보조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31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이러한 수입차 보조금 경쟁에 불을 붙인 것은 최근 국내 출시된 테슬라의 SUV 모델Y 후륜구동(RWD) 모델이다.

그동안 테슬라가 국내에서 판매하던 모델Y 전륜구동 모델은 미국에서 생산돼 가격이 7000만원 후반대였다. 하지만 테슬라는 이번 후륜구동 모델에는 중국에서 생산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해 가격을 보조금 전액 수령 범위인 5699만원까지 내렸다.

한국은 올해 5700만원 미만 전기승용차는 보조금 100%를, 5700만원 이상∼8500만원 이하 전기승용차는 50%를 지원하고 있다.

중국산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가 국내 인증 350km로 줄고, 품질 논란도 대두되고 있다. 게다가 환경부도 친환경차 보급 목표와 혁신기술 보조금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해 구매 보조금을 전액 받을 수 없을 것이라는 취지의 설명을 내놨지만, 저가 전기차에 대한 국내 반응은 뜨겁다.

테슬라에 앞서 폭스바겐코리아도 지난 6월 첫 전기차 ID.4의 연식 변경 모델인 '2023년형 ID.4'를 국내 출시하며 가격이 보조금 100% 수령 가능 범위 아래로 떨어진 프로 라이트 모델을 새로 내놨다.

여기에다 저온주행가능거리 등 다른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던 일부 수입차 모델들도 성능이 강화된 신차들이 새롭게 출시되며 보조금 수령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아우디의 2023년형 Q4 40 e-트론으로, 지난해 보조금 요건을 만족시키지 못했던 차량은 올해 모델에서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 411km, 저온주행가능거리 268km를 인정받으며 보조금 지급 대상 여부를 확인하는 '전기차 보급 대상 평가'를 받고 있다.

환경부는 총 주행가능거리가 400km 이상인 전기차의 경우 저온 주행가능거리가 상온의 65% 이상일 것을 보조금 요건으로 내세우고 있다. 한파에는 배터리 내부 저항이 늘어나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감안한 조치다.

아우디 Q4 스포츠백 40 e-트론도 지난해보다 늘어난 409㎞의 주행거리를 인정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가격인하 경쟁은 환영하지만 저품질 차량 생산으로 만든 가격 인하는 결코 소비자에게 안전할 수 없다"며 "안전한 차량의 가격 인하 경쟁이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근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