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교육부, 2022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
학폭 피해 고교생 3명 중 1명 '거의 매일' 시달려
교육부. / 연합뉴스
교육부. /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학교폭력(이하 학폭)에 시달린 고교생 3명 중 1명은 거의 매일 폭력에 시달려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폭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가해자를 포함해 다수의 학생은 '특별한 이유가 없다'고 답했다.

이에 정부는 교사와 학부모 등으로 구성하여 교내 학폭 전담기구의 사안처리를 지원할 '학교폭력 제로센터'를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17일 '2022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분석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는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조치로 교육감이 연 2회 실태조사를 실시해 결과를 공표한다.

전국 교육청은 지난해 9월 19일부터 10월 18일까지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2학년 재학생 총 15만4514명을 대상(13만2860명 응답)으로 조사했다.

조사 대상의 1.6%(2113명)가 학폭 피해를 봤다고 응답했다. 지난해 1차 조사(1.7%) 당시보다 피해 응답률이 0.1%p(포인트) 낮아졌다.

학교별로 살펴보면 △초등학생 학폭 피해율은 2.9% △중학생 1.0% △고등학생 0.3%로 집계됐다.

학급이 올라갈수록 피해율은 떨어졌지만 피해 빈도는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피해 고교생 중 '거의 매일' 학폭을 당한다는 응답자가 32.0%를 차지했다. 이어 중학생은 23.6%, 초등학생은 20.0%로 조사됐다.

피해 유형별로 보면 언어 폭력이 69.1%로 가장 높았고 △신체 폭력(27.3%) △집단따돌림(21.3%) △사이버폭력(13.9%) △성폭력(9.5%) 등이 뒤를 이었다.

문제는 학폭이 발생하는 이유가 '특별한 이유가 없음'이라는 것이다. 응답자의 66.4%가 여기에 해당했다.

실제 학폭 가해 경험이 있는 학생들(1.7%·2258명)의 경우는 전체보다 낮은 61.5%로 나왔다.

응답자들이 생각한 학폭 예방교육 방법은 공감·의사소통·감정조절 등 교육 프로그램이나 활동(29.1%)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에 교육부는 이날 "학교폭력 제로센터 등 올해 9월부터 시행할 대책의 주요 사업계획을 마련해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앞서 교육부는 4월 일명 '정순신 사태'를 계기로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을 마련한 바 있으며, 그 후속조치로 법령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대책의 주요 정책을 담은 학교폭력예방법 개정 법률안은 지난달 12일 국회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결돼 현재 법제사법위원회의 심사를 기다리고 있다.

시도교육청을 통해 설치되는 학교폭력 제로센터는 일선 학교에 마련돼 있는 학교폭력 전담기구의 사안 처리를 지원할 예정이다.

김호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