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현지 변호사 대리인으로 검찰 고발 예정
“중국·홍콩·대만 등도 시민단체 및 언론이 나서 고발해야”
수리남 방송 캡처.
수리남 방송 캡처.

[한스경제=양세훈 기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최종 보고서가 일본 정부 입맛에 맞게 대폭 수정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IAEA 본사가 있는 오스트리아 검찰에 고소장을 접수할 예정이라는 방송이 공개됐다.

6일 시민언론 더탐사와 시민방송 RTV는 ‘수리남(망가진대한민국수리프로젝트)’ 방송을 통해 오스트리아 변호사를 물색해 고발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수리남은 “IAEA 본부가 오스트리아 빈에 있어 해당 국가 검찰에 고발하는 것”이라며 “IAEA 같은 국제기구는 외교관처럼 면책특권이 없고 과거 비슷한 국제기구들도 검찰 조사를 받은 전례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오스트리아 변호사를 물색해 대리인으로 세우고 고발에 착수할 예정”이며 “이런 고발 자체가 (IAEA)와 같은 국제기구에 타격을 줄 수 있고 운신의 폭을 좁힐 수 있다”고 강조했다.

수리남은 또 “국내 또한 해수부나 국무총리 등도 직무유기와 배임죄로 고발 가능하고, 일본에서도 외무상 등 관계자들을 일본 검찰에 고발할 수 있다”며 “오스트리아 검찰에 고발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홍콩과 중국 등의 시민단체나 언론에서도 나서서 충분히 고발 가능하고 대만 시민단체와 언론들도 이런 움직임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더탐사는 익명의 제보자를 통해 IAEA가 일본정부로부터 100만 유로(약 14억원)를 받고 일본정부의 입장을 반영한 최종 보고서를 작성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더탐사가 공개한 녹취록에는 △IAEA는 일본정부가 원하는 대로 움직이고 있다 △IAEA에 한국과 중국의 전문가가 있지만 일본측 전문가가 잘 관리하고 있다 △일본정부가 IAEA 고위층에 최소 100만 유로를 전달했다 △돈을 쓴 덕에 IAEA 조사는 저밀도 신속 검사로 진행 중이다 △ALPS(다핵종제거설비)를 거친 처리수는 바닷물에 희석한 후 검사한다 △IAEA에 파견 중인 한국 전문가 김홍석은 장식품에 불과하다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양세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