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北 “검토해 볼 의향 없어”
정부 “순수 추모행사 거부 유감”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연합뉴스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연합뉴스

[한스경제=변동진 기자]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이 정몽헌 전 회장의 20주기를 맞아 추진한 방북 계획이 사실상 무산됐다. 북한이 단호한 거부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재계에 따르면 현 회장은 정 전 회장의 20주기를 맞아 금강산에서 추모행사를 열기 위해 가족과 함께 방북을 추진, 지난달 27일 통일부에 북한 주민 접촉 신청을 제출했다.

현 회장이 방북하려면 정부의 ‘접촉승인’ 후 북측으로부터 ‘초청장’을 받아야 실질적인 방북 절차가 진행된다. 그러나 이같은 과정이 진행되기 전부터 북한은 방북 거부 의사를 명백히 밝혔다.

김성일 외무성 국장은 1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우리는 남조선의 그 어떤 인사의 방문 의향에 대해 통보받은 바 없고 알지도 못한다”며 “또한 검토해 볼 의향도 없음을 명백히 밝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남조선의 그 어떤 인사의 입국도 허가할 수 없다는 것은 공화국 정부의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통일부는 이날 북한 외무성 입장에 대해 “북측이 순수 추모행사를 위한 목적의 방북에 대해 일방적으로 거부 의사를 밝힌 것에 대해 매우 유감”라이고 밝혔다.

이어 “현재 현대아산의 북한 주민 접촉 신청은 관계부처 협의 중”이라며 “북한 발표 내용을 고려해 처리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북측의 현 회장 방북 거부 의사에 따라 접촉신고는 반려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아울러 김 국장은 이날 담화에서 “금강산관광지구는 공화국 영토의 일부분이며 따라서 우리 국가에 입국하는 문제에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는 아무러한 권한도 행사할 수 없다”며 “이러한 원칙과 방침은 불변하며 앞으로도 유지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간 현 회장의 방북과 관련한 소통 창구이자 이번 접촉신청 대상이기도 한 아태의 권한이 무력화됐음을 주장한 것이다. 사실상 북한이 금강산 사업을 과거와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전환했다는 점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외무성을 통해 관련 입장을 발표한 것이다. 당초 이같은 현안은 남북관계를 담당하는 노동당 통일전선부나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담당했었다. 북측은 한국을 ‘국가 대 국가’의 관점에서 다루겠다고 시사한 셈이다.

한편 북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하고 있어 현 회장의 방북에 미온적일 것으로 예상됐다. 또 지난해부터 금강산관광지구 내 남측 시설을 무단으로 철거하고 있어 전문가들은 이번 행사가 불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변동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