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한미 정부 합동 보안권고문 발표로 경각심 제고
김수키’, 인공위성·우주 개발 기술 탈취… 北 소위 ‘위성’ 발사에 경고 조치
한미 양국이 2일 북한 해킹 조직 '김수키'에 대한 한미 정부 합동 보안권고문을 발표했다. /연합뉴스
한미 양국이 2일 북한 해킹 조직 '김수키'에 대한 한미 정부 합동 보안권고문을 발표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정부가 대표적인 북한 해킹 조직인 ‘김수키’를 세계 최초로 대북 독자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외교부는 2일 미국 정부와 함께 한미 정부 합동 보안권고문을 발표했다.

김수키는 외교·안보·국방 등 분야를 비롯해 개인·기관으로부터 첩보를 수집하여 이를 북한 정권에 제공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수키를 비롯한 북한 해킹 조직들은 전세계를 대상으로 무기 개발 및 인공위성·우주 관련 첨단기술을 절취해 북한의 소위 ‘위성’ 개발에 직간접적인 관여를 해왔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이번 권고문은 지난 2월 한미 정보당국이 발표한 ‘북한 랜섬웨어 관련 한미 합동 사이버안보 권고’에 이어 한미 양국이 공동으로 발표하는 두 번째 권고문으로서, 그간 북한 불법 사이버 활동 대응을 위한 한미 간 긴밀한 공조를 반영한 것이다.

김수키는 정찰총국 산하 조직으로서 10여년 동안 사이버 공격을 해왔다. 이들은 전 세계 정부·정치계·학계·언론계 주요 인사를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여 탈취한 외교 정책 등 정보를 북한 정권에 제공하고 있다.

이번 제재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8번째 대북 독자제재 조치로서, 우리 정부는 작년 10월 이후 개인 43명과 기관 45개를 독자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바 있다.

외교・안보 현안 등 비밀 정보 및 첨단기술 정보절취 등 ‘김수키’가 최근까지 국내 기관·개인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감행해 온 만큼, 이번 제재 조치를 통해 ‘김수키’의 국내 활동을 위축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외교부는 “우리 정부가 자체 식별한 김수키의 가상자산 지갑 주소도 식별정보로 함께 등재함으로써 이들 활동에 대한 경각심을 제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는 앞으로도 미국 등 국제사회와의 협력과 민관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의 불법 사이버활동에 대한 국내외 경각심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함께, 안전한 사이버 환경 조성을 위해 대국민 피해 예방 등 선제적 대응 활동을 적극 전개해 나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김호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