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까사 제공
신세계까사 제공

[한스경제=고예인 기자] 국내 미술 시장이 커지면서 가구, 인테리어업계가 프리미엄 이미지 구현을 위해 미술품을 활용한 제품을 출시, 전시회를 선보이고 있다.

신세계까사·현대리바트 등 가구업계는 예술과 가구를 결합한 제품 출시와 캠페인 전개를 활발히 하는 모습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작품을 소개하면서 프리미엄 이미지를 구축하고, 구매력이 큰 소비자들의 발길을 끌 수 있기 때문이다.

신세계 리빙&라이프 스타일 기업인 신세계까사는 ‘아트살롱’ 공간을 통해 일상 속 예술로 소비자들의 이끈다. 단순히 물건을 판매하는 서 나아가 하나의 문화예술 콘텐츠로서 자리매김하는 모습이다. 신세계까사의 아트살롱은 세계적인 예술가 리차드 우드와 함께 까사미아 서래마을점 공간을 살롱으로 재탄생 시켰다. 건물 외관과 내부 디자인에 리차드 우즈가 직접 참여했고,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홀리데이 홈’ 아트웍으로 외벽을 꾸몄다. 내부 역시 우즈의 작품으로 연출했다.

최근에는 신세계까사는 영국 현대미술작가 리차드 우즈와 협업한 ‘까사미아X리차드 우즈’ 소품을 출시한 바있다.

신세계까사 관계자는 “홈퍼니싱 시장에서도 아트 소비가 확산됨에 따라 아트슈머들을 발 빠르게 공략하고자 이번 협업 소품을 기획·출시했다”며 “앞으로도 문화예술 분야와 협업 기회를 모색하고 국내외 유명 아티스트의 작품을 연계한 다채로운 콘텐츠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리바트도 프리미엄 라인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지난해 글로벌 아티스트 협업 프로젝트인 '아트앤디자인프로젝트(Art&DesignProject) 2022'를 통해 제작된 가구 컬렉션을 론칭했으며, 논현동 가구거리에 이탈리아 하이엔드 가구 브랜드 '죠르제띠' 플래그십스토어도 열었다.

한샘디자인파크 송파점 미디어아트 ‘리빙 포레스트’ / 고예인 기자
한샘디자인파크 송파점 미디어아트 ‘리빙 포레스트’ / 고예인 기자

한샘은 온라인몰 리뉴얼과 함께 오프라인 매장을 ‘미래형 체험공간’으로 탈바꿈했다. 기존 상품·전시 중심의 매장을 경험·체험 중심으로 바꾸는 데 중점을 둔 것이다. 한샘디자인파크 송파점이 그 첫 번째 결과물이다. 디자인파크는 가구와 홈리모델링, 생활용품 등 한샘 상품과 서비스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대형 복합 매장이다.

한샘 디자인파크 송파점은 3640㎡(약 1100평) 규모로, 건축디자인 전문 기업 아키모스피어와 협업했다. 기존 침실·거실 등 공간을 정해두고 관련 상품을 전시했던 가구매장과는 달리 6개의 주제와 테마로 전시공간이 구성되어있다. 테마에 따라 그에 걸맞은 음악에 향기까지 고객이 상품을 이용하는 삶의 모습을 투영해 볼 수 있도록 실제 디테일함에 힘을 줬다.

한샘은 이 매장을 시작으로 송파점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체험형 매장'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연내 목동에 디자인파크 출점도 예고했다.

아트페어에 직접 참여하는 업체도 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수입·판매하는 프랑스 하이엔드 가구 브랜드 리에거(LIAIGRE)는 갤러리현대와 함께 5월 4일부터 7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진행되는 ‘아트부산 2023’에 참가했다.

이처럼 가구업계가 경제 불황에도 더욱 ‘프리미엄’을 고집하는 이유는 뭘까. 프리미엄 라인을 구입하는 소비자들은 비교적 수요 변동폭이 적기 때문이다. 소득양극화로 경제 불황 시기가 닥쳐도 고소득층의 소비 능력 자체에는 큰 영향이 없다.

업계 관계자는 “일부 계층만이 향유하던 미술품들이 최근 고급화, 프리미엄 열풍과 함께 구매 계층이 다양해지고 있다며” “가구업체들은 아트 마케팅을 통해 고객의 경험과 재미를 선사할 뿐만 아니라 고급화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고예인 기자

고예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