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충당금 적립으로 당기순익 지난해 대비 줄어
“1분기 건전성 강화…포트폴리오 다변화로 2분기부터 신상품 출시”
케이뱅크가 12일 실적 발표를 통해 올해 1분기에 10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케이뱅크 제공
케이뱅크가 12일 실적 발표를 통해 올해 1분기에 10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케이뱅크 제공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케이뱅크가 올해 1분기에 충당금 적립 여파로 지난해 같은은 기간 대비 감소한 실적을 냈다. 다만 8분기 연속 흑자 행진은 이어갔다. 

케이뱅크는 12일 실적 발표를 통해 올해 1분기에 10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분기(245억원)와 비교해 57.5%(141억원)가 감소한 수치다. 

다만 지난 2021년 2분기 이후 8분기 연속 흑자는 이어갔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이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증가했으나,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와 기준보다 더 많은 충당금 적립으로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줄었다"고 설명했다. 

케이뱅크는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을 안정적으로 늘리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1분기 말 이자이익은 고객과 여·수신이 모두 성장하며 824억원에서 102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4.9% 증가했으며, 고객 수는 871만명으로 지난해 1분기 말의 750만명보다 121만명이 늘었다. 

1분기 말 수신은 16조 6400억원, 여신은 11조94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1조5400억원, 7조8100억원)과 비교해 각각 44.2%, 52.9%가 증가했다.

케이뱅크는 올 1분기에 고정금리 전세대출 출시와 적극적인 금리 인하로 여신을 늘렸다. 이 기간 총 여섯 차례에 걸친 대출금리 인하로 경쟁력 있는 금리를 제공했다. 특히 3월에는 인터넷은행 중 처음으로 고정금리 전세대출을 은행권 최저 수준의 금리로 출시했다.

수신도 업계 최고 수준의 예·적금 금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모바일 돼지저금통’으로 불리는 단기 적금 상품을 선제적으로 출시해 잔액을 늘렸다. 여기에 파킹통장 플러스박스에 ‘바로 이자받기’ 서비스도 추가해 상품 경쟁력을 강화했다.

올 1분기 비이자이익은 8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9억원과 비교해 4배 이상으로 늘었다. 증시 침체가 이어졌지만, 금 투자 서비스 등의 다양한 제휴 분야 성과, 운용 수익 확대로 이익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

케이뱅크는 올 1분기 602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 196억원의 세 배가 넘는 충당금을 쌓았다. 충당금 적립을 크게 늘린 결과, 1분기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었다. 

1분기 말 연체율은 0.82%, BIS비율은 지난해 말과 유사한 13.55%를 유지했다.

케이뱅크는 올 1분기에만 수신잔액이 약 2조원 늘어나는 등, 꾸준히 자금이 유입되고 있으며 1분기 중 평균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이 276%로 시중은행 평균(100%)을 크게 웃도는 등, 안정적으로 유동성 관리를 해 나가고 있다.

2분기부터는 여신 영역에서는 담보대출의 비중을 확대하고, 수신 영역에서는 모임통장 등 비용경쟁력을 갖춘 상품을 출시해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함으로써 건전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이익 확대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서호성 케이뱅크 은행장은 “올 1분기는 선제적 건전성 관리에 집중했다”며 “이익 체력이 다져진 만큼,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는 한편, 시장에서 더욱 매력적인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고 강조했다.

이성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