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윤석열과 경찰과 조선일보가 뭐라고 선동할지 안봐도 비디오"
8일 서울 중구 경향신무사 별관에서 전국금속노조가 5·31 총파업 선언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성은숙 기자
8일 서울 중구 경향신무사 별관에서 전국금속노조가 5·31 총파업 선언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성은숙 기자

[한스경제=성은숙 기자] "앉아서 당하느니 서서 싸우겠습니다"

전국금속노조가 지금을 '노동자 위기의 시대'로 규정하고, 오는 31일 총파업 투쟁을 선언했다. 노조탄압 중단, 노동개악 중단, 최저임금 대폭 인상 등 금속노조의 요구에 응답하기는 커녕 노동자의 목숨을 앗아가는 정권에 저항하겠다고 나섰다. 

8일 금속노조는 서울 중구 경향신문사 별관에서 총파업을 선언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4월 19일부터 5월 5일까지 조합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윤석열 정부 1년 평가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금속노조에 따르면 조합원 18만6500여명 중 8638명(총 조합원 수 대비 5%)이 참여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금속노조 조합원들이 0점부터 5점까지 점수 중 윤석열 대통령에게 매긴 점수 평균은 0.4점에 불과했다. 100점 만점 기준으로 환산하면 8.5점이다. 

금속노조가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 조합원 중 97%는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노동자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 장시간 불규칙 노동으로 노동자의 건강이 악화될 것이라고 우려했으며, 94%는 가산수당 없는 연장 노동 확대로 실질 임금이 삭감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 조합원 중 91%는 기업들이 1인당 노동시간을 늘이고 고용은 축소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이번 금속노조 설문조사에 응답한 조합원 중 94%('매우 그렇다' 응답 82%)는 정부가 민주주의를 훼손하고 있다고 평가했으며, 96%('매우 그렇다' 응답 86% 포함)는 윤석열 정부가 민주노총을 탄압하고 있다고 봤다. 

금속노조는 5·31 총파업 투쟁의 주요 목표 중 특히 강조하고 싶은 내용을 묻는 질문에 가장 많은 수가 '윤석열 정권 심판(66%, 복수답변 허용)'을 골랐다고 주장했다. 

8일 서울 중구 경향신무사 별관에서 전국금속노조가 5·31 총파업 선언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성은숙 기자
8일 서울 중구 경향신무사 별관에서 전국금속노조가 5·31 총파업 선언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성은숙 기자

이날 윤장혁 위원장은 "금속노조는 '이대로는 살 수 없다'는 노동자들의 절박한 요구를 받아 안고, 4월 18일 금속노조투쟁본부 대표자 회의를 통해 5월 31일 주야 4시간 이상 전조직이 파업에 돌입하기로 결정했다 "며 "금속노조의 요구에 대한 정부의 태도 변화가 없다면 5월 31일 파업에 이어서 윤석열 정권을 심판하는 총력 투쟁과 7월 민주노총과 함께하는 대정부 파업투쟁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한주 언론국장은 "금속노조는 앞서 대정부 요구안을 대통령실 민원접수실에 제출했고 5월 4일까지 답변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정부의 답변은 없었다"면서 "정부가 실제로 총파업을 맞닥뜨리고 싶지 않다면 지금이라도 금속노조의 대정부 요구안에 답변을 하면 되는 일"이라고 말했다.  

권수정 부위원장은 "윤석열과 경찰과 조선일보가 뭐라고 선동할지 안봐도 비디오"라면서 "귀족노조가 불법파업한다고 할 것이다. 금속노조를 불법 폭력집단, 깡패로 몰면서 법치국가의 엄정한 법질서 집행을 위하여 엄단한다고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 현대자동차와 현대제철에서 수십년 불법파견으로 노동자를 고용한 범죄자 정의선을 처벌하지 못하고, 오히려 범죄에 희생된 비정규직 노동자를 수갑채워 체포하고 눈앞에서 노동자를 향해 차를 돌진하는 일진하이솔루스 회사를 구경하고, 하루 평균 1.3명의 건설노동자가 죽어나가도 사용자를 처벌하지 않고 오히려 건설노조를 공갈치는 깡패로 모는 이 파렴치함이 윤석열의 법치국가 대한민국의 얼굴이다"고 주장했다.

한편 5·31 총파업 참여 예상 인원에 대해 김유철 기획실장은 "23일 투본 대표자회의에서 최종 점검을 하게 될 것"이라면서 "기아자동차가 파업을 결심하고 있어 규모가 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성은숙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