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우르빅스와 협약 이어 현지 공급망 강화 효과
[한스경제=권선형 기자] SK온이 미국 광물개발 기업들과 연이어 음극재 개발 협력에 나서며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대응을 위한 현지 공급망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3일 SK온은 웨스트워터 리소스(Westwater Resources, 이하 웨스트워터)와 배터리 음극재 공동개발협약(Joint Development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SK온 배터리에 특화된 친환경 고성능 음극재를 연구·개발할 예정이다. 웨스트워터에서 정제한 흑연으로 만든 음극재를 SK온이 개발 중인 배터리에 적용하고, 성능을 함께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협업 기간은 3년이다.
개발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SK온은 웨스트워터로부터 음극재를 공급받아 미국 내 SK온 배터리 공장에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1977년에 설립돼 미국 나스닥에 상장돼 있는 웨스트워터는 초기 우라늄 관련 사업을 펼쳤으나 2018년 흑연 업체를 인수한 뒤 배터리용 음극재 개발 기업으로 변신했다. 현재 미국 앨라배마주에서 1만 7,000ha에 이르는 쿠사 흑연 매장 지대의 탐사·채굴권을 갖고 있다. 광산 근처에 2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 흑연 정제 공장도 짓고 있다. 연산 7,500톤 규모로 올해 말 시운전을 거쳐 2024년 상반기부터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음극재는 양극재, 분리막, 전해질과 함께 리튬이온 배터리를 구성하는 4대 요소다. 배터리의 수명, 충전 속도 등을 좌우한다. 현재 원소재로는 주로 흑연이 쓰이고 있다. 음극재는 특정 국가 의존도가 매우 높아 배터리 기업들은 공급망 다각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지난해 하반기에 발간한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음극재 생산의 85%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다.
SK온은 지난 1월 우르빅스(Urbix)사와도 음극재 공동개발협약을 발표하고 북미 현지에서 주요 배터리 소재 확보 역량을 높였다. 우르빅스는 현재 애리조나주에 연산 약 1,000톤 규모의 음극재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있다. 2025년까지 연산 2만 8,500톤까지 확장하는 계획을 추진 중에 있다.
선희영 SK온 선행연구담당은 “현지 공급망을 강화해 IRA에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며 “이를 위해 현지 유력 원소재 기업들과의 협업을 꾸준히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렌스 크라이언 (Terence Cryan) 웨스트워터 회장은 “글로벌 선도 배터리 제조사와 협력할 수 있어 기대가 크다”며 “이번 협약은 미국에서 배터리용 천연흑연 확보 옵션이 될 수 있어 향후 SK온에게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권선형 기자 peter@sporbiz.co.kr
관련기사
- SK온, 대전 배터리연구원에 총 4,700억원 R&D 시설 투자…2028년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 SK온,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 최초 ‘에디슨 어워즈’ 수상
- [2023년 배터리 전망]②SK온, "완성품 비율 높여 내년부터 흑자 전환 할 것"
- 포드, 배터리 원자재 자체 조달 계획 발표…합작 공장 짓는 SK온, “협의 없었다”
- 올해 1분기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182.5GWh…전년 동기 대비 49.0% 성장
- SK온, 5,300억원 추가 투자유치…최대 5조원 유치 달성
- SK온‧포드 합작 블루오벌SK, 美에너지부 조건부 대출 최대 92억불 확보
- 미국에 SK그룹 이름 딴 ‘SK도로’ 생겼다…한층 강화된 위상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