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여야, 청년층 표심 잡기 경쟁에 '천원 아침밥' 합치
20대 결식률 53.0%… 대학생 98.7% 천원 아침밥 지속 '동의'
학생들이 '천원의 아침밥'을 배식받고 있다. /연합뉴스
학생들이 '천원의 아침밥'을 배식받고 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고물가로 식비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저렴한 가격에 양질의 식사를 할 수 있는 ‘천원 아침밥’이 대학가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국민의힘은 사업을 규모를 확대하겠다고 밝혔고, 더불어민주당도 지원 확대에 동의하면서 모처럼 협치 분위기가 조성됐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좀처럼 오르지 않는 청년층 지지율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특정 세대에만 세금을 쓰는 건 또 다른 차별을 불러오는 것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천원 아침밥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2017년부터 쌀 소비 촉진과 학생들의 아침 식사 문화 확산을 위해 시행해온 사업이다. 3500~5000원 상당의 아침 식사를 1000원만 내고 먹을 수 있게 했다. 정부가 1000원을 부담하고, 학교가 나머지 금액을 지원하는 식이다. 현재 전국 41개 대학이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입 소문을 탄 천원 아침밥은 대학가에서 인기다. 고물가 여파로 주머니 사정이 어려워진 대학생들에게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에 따르면 2021년 기준 20대 아침 결식률은 53.0%로 2012년(43.4%)보다 9.7p(포인트) 올랐다. 여기에 지난 5일부터 11일까지 조사한 결과에선 대학생 중 56%가 ‘가장 부담되는 지출’로 식비를 지목했다. ‘가장 먼저 줄인 지출이 식비’라고 답한 비율은 77%로 조사됐다.

농식품부가 지난해 학생들을 상대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에서도 천원 아침밥 사업에 대한 반응이 좋았다. 응답자 98.7%가 ‘사업이 계속 이어졌으면 좋겠다’고 했고, ‘아침밥의 중요성을 느꼈다’는 응답자는 91.8%로 나타났다.

정부는 최근 이 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7억7800만 원인데, 15억8800만 원으로 증액한다. 참여 대학도 41개교에서 68개교로, 인원은 기존 69만 명에서 150만 명으로 확대된다.

주 최대 69시간 근로, 한일 정상회담,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등으로 극한의 대치만 거듭하던 여야가 모처럼 손을 잡았다. 이들이 천원 아침밥에 한 목소리를 내는 건 내년 총선을 앞두고 청년층 표심을 공략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특정 정당에 대한 지지나 성향 등을 잘 드러내지 않는 20•30세대의 표심이 승패를 결정짓는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문제는 결국 예산이다. 재정난을 겪는 지방대학들 입장에선 걱정이 먼저 앞선다. 학생과 정부가 지원하는 2000원 외의 비용은 온전히 대학의 몫이다. 물가가 오른 탓에 한 끼에 4000원이 넘는다고 한다.

지방의 한 A대학교 운영팀 관계자는 “천원 아침밥 정책은 좋은 지원 사업이 맞다. 그러나 대학마다 예산 규모도 다르고 학생 수도, 근무하시는 분들의 수도 다르다. 우리 학교 사정은 그리 좋은 편이 아니다. 신입생 입학도 줄어 걱정이다. 정부가 부담하는 예산을 늘리는 방안도 생각해야 한다”고 토로했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정말 좋은 사업이지만 한편으로는 짠하다", "아이디어 낸 사람 대박이다" 등의 긍정적인 반응이 주였다.

하지만 정치권의 연합 정책은 세대 갈등, 세금 낭비를 불러올 것이라는 우려도 있었다. "아침밥은 1000원, 입가심으로 커피값은 4500원", "결국 이건 단기적인 거다. 물가를 잡아야 할텐데", "주변 상인들은 경쟁에서 밀려 힘들어지겠다. 소상공인 분들은 어떻게 장사해야 하냐", "왜 대학에만 천원 아침식사가 있냐"는 지적도 있었다.

김호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