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백신 완제품 2조6865억·원부자재 865억 등…종사자 총 4만4312명
백신기업 수도권 집중, 중견기업 상대적으로 많아
자금·전문인력, 인허가 과정에서 애로사항 많아
백신산업 성장 위해 부처별 맞춤 지원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선임기자] 지난해 기준 국내 백신기업은 모두 159개사로 대부분이 서울과 경기에 집중됐고 산업 ‘허리’ 역할을 하는 중견기업’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59개 백신기업은 지난해 3조4178억원의 국내매출과 수출 6287억원을 달성했다.

7일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백신 산업의 국내 매출, 수출, 고용 및 투자 현황 등을 포함해 조사를 시행한 ‘2021년 국내 백신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백신기업 159개사를 기록했다. 업무형태 별로 백신 완제품이 29.6%, 백신 원부자재는 32.1%, 백신 장비가 15.1%, 백신 관련 서비스는 35.8%였다.

백신산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은 본사 기준으로 서울(53개사, 33.3%), 경기(51개사, 32.1%) 지역에 소재지가 집중돼 수도권 집중 현상이 뚜렷했다.

기업 규모는 대기업 3.1%(5개사), 중견기업 26.4%(42개사), 중소기업 70.4%(112개사)로 전체 제조업과 비교 시, 산업 ‘허리’ 역할을 담당하는 중견기업 비중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설립 자본 기준으로는 내자 회사(순수 내국자본) 90%(143개), 외자회사(외국 자본) 5%(8개), 합작 회사(외자 + 내국자본) 5%(8개)로 나타났다.

백신산업 부문 국내 매출액은 총 3조4178억 원으로 조사됐다. 백신 완제품 2조6865억 원, 백신 원부자재 865억 원, 백신 장비 694억 원, 백신 관련 서비스 6361억 원이었다.

백신산업 부문 수출액은 총 6287억 원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는 백신 완제품 5637억 원, 백신 원부자재 1410억 원, 백신 장비 430억 원, 백신 관련 서비스 763억 원으로 조사됐다.

백신산업 부문 투자비는 연구개발비 2140억 원, 시설투자비 1174억 원 등 총 3314억 원이었다.

현재 진행 중이거나 향후 계획된 백신‧바이오 기업들의 13조 원 이상 설비 투자 계획을 감안할 때 연도별 설비 투자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백신기업 전체 투자비는 2조2049억 원으로, 이 중 백신 부분은 15.0%에 달했다.

백신기업 중 백신관련 부서에 종사하는 인력은 1만758명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직무별로는 생산직 4715명(43.8%), 연구직 2772명(25.8%), 영업. 관리 등 기타직 3271명(30.4%)이었다.

백신 기업들이 현장에서 체감하는 기업 애로사항으로는 연구개발과 관련해서는 자금 부족(47.2%, 75개사), 전문인력 부족(25.2%, 40개사), 연구장비 등 인프라 부족(22.0%, 35개사) 순 으로 꼽혔다.

백신기업들은 현장에서 체감하는 애로사항으로 자금 부족과 전문인력의 부족,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 및 허가 문제(62.3%, 99개사), 임상(37.1%, 59개사), 국가출하승인(28.3%, 45개사), 질병청 국가예방접종 입찰제도(25.2%, 40개사) 순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기존 산업통상자원부가 매년 시행하는 바이오산업 실태조사와의 연계성, 정합성, 모집단 설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통계청 협의를 거쳐 국내 백신산업 실태조사를 내년부터 국가통계로 승인을 받기 위한 검토를 시작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백신 산업이 향후 바이오산업을 선도하는 탄탄한 중추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업 규모를 키우고(Scale-Up), 성장주기에 맞춘 범부처 지원을 적시에 제공하며, 백신 개발과 생산, 수출까지 단절 없는 부처별 맞춤형 지원이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또한, 백신 기업들이 산업 현장에서 체감하는 각종 인·허가 규제 등은 관계부처 합동 글로벌백신허브화추진단 기업애로사항해소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단계적‧순차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해나갈 계획이다.

복지부는 “백신산업이 향후 바이오산업을 선도하는 탄탄한 중추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부처별 맞춤형 지원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