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금융위, 9일 정례회의에 관련 안건 상정해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우리금융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우리금융

[한스경제=박종훈 기자] 손태승 우리금융그룹 회장의 제재안이 일단락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는 9일 오후 열리는 정례회의를 통해 라임자산운용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와 관련한 손 회장의 제재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3월 라임 사태와 관련해 손 회장에게 문책 경고 상당의 중징계를 결정하고 이에 대한 결정을 금융위에 넘겼다. 이에 지난 1년 6개월여동안 이에 대한 확정이 미루어졌다.

만약 오늘 정례회의를 통해 손 회장에게 '문책 경고' 이상의 중징계가 결정된다면 내년 3월로 임기가 끝나는 손 회장은 연임에 빨간불이 켜지게 된다. 이는 3년~5년까지 금융사 취업을 제한하는 중징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손실 사태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 결정이 손 회장의 연임에 발목을 잡을 지는 미지수다. 당시 손 회장은 소송을 통해 승소한 바 있기 때문이다. 

민영화 출범 원년이라는 점과 우리금융의 실적을 크게 개선시킨 점 등 손 회장의 성과가 인정되고 있는 만큼, 이번 제재안을 무사히 넘긴다면 연임에는 문제가 없어 보인다.

한편 우리은행노조가 소속된 한국노총 금융노조(위원장 박홍배)는 8일 성명을 내고 "BNK·수협·기업은행·우리금융·신한금융에도 모피아 낙하산 설이 확산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국민의 삶이 위협받고 기업이 생존의 기로에서 힘겨워하고 있는 상황을 방치한 금융당국의 부실 대응은 지난달 국정감사에서 질타의 대상이 되었다"며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기는커녕 잿밥에만 눈이 멀어 민간금융회사에 자기사람 심기에만 몰두하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의혹마저 일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리금융그룹과 관련해선 "라임펀드 판매를 빌미로 무리한 중징계를 통해 현 회장을 몰아내고 현 법무법인 율촌의 고문인 전직 금융위원장을 앉히려 한다는 소문이 시장에서 파다하다"고 지목했다. 

주요 시중 은행과 국책은행을 포함한 금융공기업, 지방은행 노조들을 포괄하고 있는 금융노조는 과거 이명박·박근혜 정권 때도 금융권 낙하산 인사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제기한 바 있다. 금융노조는 성명에서 "이명박 정부의 4대 천왕, 박근혜 정부의 서금회로 대표되는 낙하산들은 제왕적 권력을 휘두르면서 금융권에서 수많은 문제를 양산했음을 국민들은 똑똑히 기억하고 있다"며 "윤석열 정부 역시 금융권 첫 인사였던 산업은행 회장 인선에서 보듯이 정권의 입맛에 맞는 낙하산의 유혹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우리은행지부·우리카드지부·우리FIS지부·우리신용정보지부 등 우리금융 계열사 4개 노조가 소속된 우리금융노동조합협의회도 같은 맥락의 성명서을 내고 정권의 '의도'에 대해 일침을 가했다. 이들은 "우리금융 전 임직원이 혼신의 노력을 다해 23년 만에 완전민영화를 성공했다"며 "사리사욕에 눈이 멀어 권력에 의탁한 일부 인사들의 관치시도를 즉각 중단해야 할 것이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타행인 신한·하나은행의 경징계와 달리 우리은행에 중징계한 근거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며 "제재와 관련해선 어떠한 외부적 영향이나 정무적 판단도 개입되지 않아야 하며, 오직 법과 원칙에 따라서만 판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종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