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개인도 무한책임 져야한다는 것 잊어버려서 안돼"
김성회 전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 / 연합뉴스
김성회 전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 / 연합뉴스

[한스경제=김정환 기자] 김성회 전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이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부모도 자기 자식이 이태원 가는 것을 막지 못해놓고"라고 말하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김 전 비서관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국가도 무한책임이지만, 개인도 무한책임"이라며 "왜, 부모도 자기 자식이 이태원 가는 것을 막지 못해놓고 '이태원 골목길에 토끼몰이 하듯이 몰아넣었다'는 표현이 나오는 것인지"라고 지난 3일 말했다.

김 전 비서관은 "매번 무책임한 개인들의 모습, 그것을 당영한 생각인냥 부추기는 언론의 논조. 이런 남탓과 무책임한 모습이 반복되는 한 참사는 반복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경찰의 직무유기 문제를 떠나서, 국가가 무한 책임을 지겠다는 자세도 중요하지만 개인이 선택한 자유 의지에 대해 개인도 무한책임을 져야한다는 것을 잊어버려서는 안된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국가의 무한책임, 자유의지에 대한 개인의 무한책임 두 가지 모두가 강조되지 않고 한 쪽에만 책임을 떠넘기는 절름발이 의식과 언론의 논조가 대형 참사를 반복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5월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에 임명됐던 김 전 비서관은 '동성애는 정신병의 일종'이라는 글과 위안부 피해자들의 보상 요구를 '화대'라고 표현하는 글 등을 올려 논란을 일으켰고, 같은 달 자진 사퇴했다. 

김정환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