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준영 보안기술연구실장 "원전 외 항공·군사용 장비 활용"
[한스경제=정라진 기자]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원전 제어기가 지닌 보안난제를 풀었다.
12일 원자력원은 기존 에뮬레이터의 보안성을 높일 신기술 2종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원 보안기술연구실 손준영 박사팀은 2017년부터 관련 연구에 착수해 본 성과를 이뤄냈다.
앞서 2000년대 초반부터 원전 제어기와 제어 PC를 연결하는 통신장치인 에뮬레이터는 성능 업그레이드가 이뤄지지 않아 보안성 문제를 겪었다. 현재 병렬포트를 이용해야만 다른 PC와 연결되는 에뮬레이터는 더 이상 병렬포트를 지닌 컴퓨터가 생산되지 않아 유지보수가 어렵고 윈도우 XP와 윈도우 2000 등 보안 업데이트가 멈춘 과거 운영체제에서만 작동한다는 한계를 지녔다.
연구진은 먼저 병렬포트만을 지원하던 에뮬레이터를 분석해 USB 포트와 호환될 새로운 컨버터 케이블을 세계 최초 개발했다. 기존 에뮬레이터에 이번 케이블을 연결하면 병렬포트가 없는 컴퓨터에도 꽂을 수 있다. 최신 운영체제에서도 동작하도록 케이블에 탑재할 펌웨어 프로그램도 개발한 상태다.
병렬포트와 USB 포트를 서로 연결하는 케이블은 시중에 존재했지만 원전 제어기에는 적용되지 않아 그간 난제로 여겨졌다. 이를 우회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실물 케이블로 구현해낸 것은 원자력연구원이 국제적으로 유일하다.
원전 제어기 자체의 보안성을 높이고자 OTP 인증 방식도 도입했다. 에뮬레이터와 원전 제어기를 연결한 후 일회성 비밀번호까지 입력해야만 제어기를 조정할 수 있어 안전하다.
OTP는 비밀번호가 고정되지 않고 일회성으로 계속해서 생성되는 방식이므로 가장 강력한 시도 응답기술을 요구하는 국내 규제 요건을 충족한다. 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프로그램 ‘pCert’를 설치하면 케이블 종류에 상관없이 OTP 인증 절차가 추가된다.
컨버터 케이블 기술은 현재 특허 출원을 앞뒀고 OTP 기술은 2020년 12월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손준영 보안기술연구실 실장은 “컨버터 케이블의 경우 원전 외에도 항공 발사체의 데이터 보안, 군사용 시스템 장비 점검 등에 활용된다”며 기술 이전 준비 단계라고 설명했다.
박원석 원자력연 원장은 “이번에 개발한 신기술은 원자력계 물리적 안전과 사이버 보안을 모두 강화하는 혁신적인 성과”라며 “세계 최초라는 수식에 걸맞게 앞으로 원자력 보안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말했다.
정라진 기자 jiny3410@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