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서동영 기자] KTX-이음(EMU-260)에서 승차감 이상 보고가 200차례 가까이 발생했음에도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제작사인 현대로템의 비용 떠넘기기에 해결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KTX-이음은 100% 국내 기술로 만들어진 차량이다.
1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이 코레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KTX-이음이 도입된 지난해 1월 이후 올해 9월까지 객실 승무원이 승차감 이상을 보고한 사례는 195차례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진동 등 이상 보고 78%가 초기에 도입된 501~505편성에 몰렸다.
KTX·KTX-산천은 맨 앞 기관차가 객차들을 끌고 달리는 동력집중식 열차인다. 반면 KTX-이음은 별도 기관차 없이 객차 밑에 분산 설치한 모터들을 이용한 동력분산식 열차다.
동력분산식은 탄소 배출량이 적고 가속·감속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정부는 코레일 등 열차 운영기관이 새로 고속열차를 발주할 때 동력분산식으로 하도록 했다.
KTX-이음에서 승차감 이상 보고가 이어지자 코레일은 지난 5월 제작사인 현대로템과 승차감 개선 TF팀을 만들었다. 7월부턴 열차 흔들림 방지 장치인 요댐퍼 불량품 교환 등에 나섰다.
또 코레일은 공기스프링을 교체하고 열차 바퀴가 철도에 닿는 면인 답면을 변경하면 열차 운행 때 진동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하지만 코레일과 현대로템 중 누가 비용을 부담할지 결정하지 못하는 중이다. 공기스프링 교체를 위해선 열차 1편성(6량)당 8600만원, 총 16억3000만원이 소요된다. 현재 KTX-이음은 서울과 안동, 강릉을 오가는 열차 19편성이 운영 중이다.
유경준 의원은 "친환경 고속열차라던 KTX-이음 승차감이 오히려 떨어지고 있다"며 "국민들이 열차를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코레일과 현대로템의 책임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동영 기자 westeast0@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