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박슬기 기자] 홈쇼핑 업체와 유료방송사업자의 갈등이 최고조로 치달았다. 일종의 채널 자릿세 개념인 송출수수료 인상폭을 놓고 좀처럼 의견이 좁혀지지 않아서다. 홈쇼핑 업계는 담당부처인 과학기술부(이하 과기부)에 송출수수료의 적정성 기준 검토를 요청했지만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홈쇼핑사들이 천정부지로 치솟은 송출수수료로 매출이 지속적으로 급감하자 과기부에 송출수수료 검토를 요청했다. 이는 과기부가 운영하는 '홈쇼핑 송출수수료 대가 검증 협의체'에 홈쇼핑사가 직접 수수료 검증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결과가 나오면 IPTV는 따라야 한다.
홈쇼핑사가 과기부에 이같은 요청을 하게 된 이유는 매출의 평균 60% 수준을 송출수수료로 내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로 TV채널 의존도가 낮아지고, 판매고도 줄어든 데다 송출수수료까지 지속적으로 인상하면서 홈쇼핑 업계 실적은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송출수수료 협상은 홈쇼핑사와 유료방송사업자 업체 간 1대1로 이뤄진다. 통상 상반기 내 협상이 끝나는데 올해는 협상이 늦어지고 있다. 홈쇼핑 업계 관계자는 "협상이 길어지는 경우도 있다. 그보단 현재 과기부에 송출수수료 적정선에 대해 검증해달라고 요청했는데 잘 되지 않을 것 같아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홈쇼핑 업계는 '황금채널'을 둘러싸고 발생하는 과도한 경쟁을 지양하기 위해 송출수수료 인상의 상한선을 정하자는 입장이다. 그러기 위해선 과기부가 만든 '홈쇼핑 송출수수료 가이드라인'을 좀 더 세부적이고, 명확하게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과기부의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송출수수료 산정 기준은 IPTV의 가입자수와 홈쇼핑사 TV, 모바일, 인터넷 매출 등이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홈쇼핑사들은 송출수수료에 대한 모호한 기준 때문에 유료방송사업자에 끌려가는 모습이었다. 현재 협상이 길어지는 것도 가이드라인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TV홈쇼핑 업계 전반이 이미지 제고와 실적 개선을 위해 탈TV화를 하는 분위기인데 이런 점들이 가이드라인에 반영돼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과기부가 그동안 "송출수수료 문제는 사적 계약의 영역"이라며 뒷짐을 지고 있었던 만큼 송출수수료에 대한 문제 개선이 당장 이뤄지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홈쇼핑사들의 올해 2분기 실적은 예상대로 악화됐다. 대부분 업체는 송출수수료 부담을 실적 악화의 이유로 들었다. 올해 GS샵은 2분기 영업익 32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3%(4억원) 소폭 상승했지만, 이를 제외하고 CJ온스타일, 롯데홈쇼핑, 현대홈쇼핑 등은 일제히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CJ온스타일의 영업이익은 195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4.7% 급감했다. 현대홈쇼핑은 269억원으로 11.9% 감소했고, 롯데홈쇼핑은 9.6% 줄어든 280억원을 기록했다.
여행방송 편성, PB브랜드 론칭 등으로 수익 개선에 집중했지만 과도한 송출수수료 인상으로 실적 악화의 고리를 끊지 못했다. 홈쇼핑 업계 관계자는 "송출수수료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지만 지지부진한 상황이다"라며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하루 빨리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슬기 기자 psg@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