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반 삼계탕'./신세계푸드 제공.
'올반 삼계탕'./신세계푸드 제공.

[한스경제=양지원 기자] 코로나19로 수혜를 누렸던 HMR(가정간편식)이 엔데믹 전환 후에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고물가 시대 속 외식 비용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여름철 보양식도 HMR이 인기를 누리면서 업계에서는 다양한 상품군 확대에 나서는 추세다.

수개월째 계속되는 외식물가 상승으로 소비자들은 골머리를 앓고 있다. 대표적인 복날 보양식인 삼계탕의 가격도 크게 늘었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이 집계한 지난 6월 외식비에 따르면 삼계탕 평균 가격은 1만4885원으로 전년 동기(1만4077원)에 비해 5.7% 가량 올랐다.

이는 보양식도 간편식으로 즐기는 소비자가 크게 늘어난 이유다. 신세계푸드의 보양 간편식 올반 삼계탕은 지난달 판매량 10만개를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한 수치다. 7월 1일부터 6일까지 판매량은 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수요가 늘면서 신세계푸드는 보양식 라인업을 확대했다. 프리미엄 보양 간편식으로 올반 영양해신탕을 새롭게 출시했다. 문어, 전복, 닭고기, 수삼 등 국내산 재료를 활용해 담백하고 진한 국물 맛을 즐길 수 있다.

'비비고 누룽지 닭다리삼계탕'./CJ제일제당 제공.
'비비고 누룽지 닭다리삼계탕'./CJ제일제당 제공.

CJ제일제당도 비비고 누룽지 닭다리삼계탕을 출시했다. 소비자가 선호하는 부위인 닭다리 중심으로 메뉴를 구성해 한 마리 통째로 들어간 시판 삼계탕 제품 대비 더 합리적인 가격으로 만나볼 수 있다고 사측은 설명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삼계탕 판매량이 6~8월에 전체의 60% 이상 집중되는 만큼, 삼계탕 2종을 앞세워 시장 지위를 더 확고히 한다는 계획이라며 기존 비비고 삼계탕의 경우 전문 식당에 가지 않고도 진하고 든든한 보양 국물요리를 즐길 수 있어 매해 150만봉 이상 팔리고 있다고 말했다. CJ제일제당은 이 외에도 밑국물로 활용 가능한 국물요리 비비고 진국육수 3종도 선보였다.

하림도 최근 하림 누룽지 닭백숙 밀키트를 출시하며 수요 확보에 나섰다. 먹기 편하게 자른 신선한 닭고기 한 마리와 진한 국물 맛을 낼 치킨스톡, 국산 한약재 5종을 담은 티백과 누룽지 등이 들어있는 제품이다.

오뚜기의 옛날 삼계탕은 부드러운 국산 닭고기에 찹쌀, 수삼, 마늘, 은행을 넣고 푹 끓여다. 국산 닭고기의 부드러운 육질과 다년간 축적해온 오뚜기 탕류 노하우로 진하고 담백한 육수가 풍부하게 들어있다.

'오븐구이 오리 도시락'./한솥 제공.
'오븐구이 오리 도시락'./한솥 제공.

외식 프랜차이즈 업계에서도 보양식 메뉴를 연이어 선보이고 있다. 도시락 프랜차이즈 한솥은 7월 신메뉴로 여름철 보양식 오븐구이 오리 도시락을 선보였다. 불포화지방산과 단백질이 풍부한 오리를 주재료로 사용해 여름철 색다른 보양식으로 차별화를 꾀했다.

CJ푸드빌이 운영하는 제일제면소는 문어 삼계 전골을 출시했다. 깔끔한 국물에 문어와 국내산 닭한 마리, 새싹삼을 듬뿍 올린 프리미엄 전골요리다.

업계 관계자는 지속적인 물가 상승으로 보양식 역시 값비싼 외식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소비자들의 수요에 맞춰 보양식 상품군도 확대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양지원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