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홍근 회장의 지지 호소도 큰 힘
[한스경제=박종민 기자] 김재열(54) 전 대한빙상경기연맹 회장 겸 삼성글로벌리서치(전 삼성경제연구소) 사장이 비유럽인으로는 최초로 국제빙상경기연맹(ISU) 회장에 오르면서 한국 스포츠 외교력 강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고(故)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의 사위인 김재열 신임 회장은 앞서 10일 태국 푸껫의 힐튼 아카디아 리조트에서 진행된 2022 ISU 총회 회장 1차 선거에서 유효표 119표 중 77표(64.7%)의 압도적인 지지를 얻어 24표를 받은 퍼트리샤 피터 미국 피겨스케이팅협회 회장을 따돌리고 ISU 새 수장에 이름을 올렸다. 임기는 2026년까지 4년간이다.
ISU는 세계 쇼트트랙과 스피드스케이팅, 피겨스케이팅 등 빙상 종목을 총괄한다. 김재열 회장은 향후 ISU 이사회를 감독하며 주요 의제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1892년 창설된 ISU에서 비유럽 국가 출신 회장이 배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빙상계 주요 행정 결정이 유럽 국가들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걸 막고 비유럽 약소국에 대한 지원을 늘리겠다는 공약이 주효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대한빙상경기연맹 회장을 맡고 있는 윤홍근(67) BBQ 회장의 노력도 컸다. 이번 ISU 총회에 참석한 윤 회장은 집행위원들과 회원국 관계자들을 일일이 만나며 김 회장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선수단장으로서 개최국의 편파 판정에 대한 공식 항의와 긴급 기자회견에 앞장서며 리더십을 보인 윤 회장의 지지가 김 회장의 당선에도 힘을 보탰다는 분석이 나온다.
윤 회장은 "김 회장은 혁신을 통해 변화를 선도하고, 인적 및 물적 자원을 성장 발전시킬 수 있는 최적의 리더다. 오랜 시간 국내외 스포츠 단체에서 폭넓은 경험을 쌓아온 스포츠 행정가로서 그 능력을 앞으로 발휘해 세계 빙상 발전에 기여함은 물론 대한민국의 국격을 높이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낙관했다.
김 회장은 "스포츠는 국경과 인종을 초월해 세계를 하나로 연결하는 힘이 있다. 경제, 문화, 스포츠 강국으로 우뚝 선 대한민국의 사례를 모델 삼아 동계스포츠에서 소외된 세계 여러 나라에 희망과 격려, 성공의 메시지를 전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당선으로 김 회장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이 될 가능성도 생겼다. IOC는 가맹 국제연맹 회장 중 최대 15명을 IOC 위원으로 선출한다. ISU 회장직은 동계 종목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리라 김 회장이 IOC 위원으로 활동하게 될 수 있다. 김 회장은 2023년 IOC 총회에서 이기흥(67) 대한체육회장, 유승민(40) 선수위원에 이어 한국의 3번째 IOC 위원으로 뽑힐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 스포츠는 1988년 서울 올림픽과 2002년 국제축구연맹(FIFA) 한일 월드컵, 2011년 대구 육상선수권대회,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등 주요 대회 성공 개최에 이어 국제 스포츠 기구 관련 행정에서도 그 영향력을 확대해가고 있다.
박종민 기자 mini@sporbiz.co.kr
관련기사
- ‘8억 원 연봉킹’ 이유 있네... SK 김선형 초대형 계약 뒷얘기
- 손흥민 센추리 클럽과 故 유상철 추모... ‘리스펙트’는 늘 옳다
- [기자의 눈] 네이마르와 브라질, '세계 1위'의 품격
- 살라 없이 '반쪽 모의고사' 될 이집트전, 벤투호의 승부수는
- '뒷심 발휘' 신상훈, KPGA 선수권서 생애 첫 우승 달성
- 박민지, 셀트리온 퀸즈 마스터즈 우승... 시즌 2번째 타이틀 방어 진기록
- 'LPGA 신인상 부문 1위 도약' 최혜진 "시즌 끝까지 최선 다할 것"
- [기자의 눈] 구자철 KPGA 회장의 막말 논란... 투어 품격의 바로미터
- 장명희 아시아빙상경기연맹 회장, 6선 성공
- [김호진의 적시타(打)] 연일 논란 제주도체육회, 특단의 대책 마련하라
- 국민체육진흥공단, 제2차 국립체육박물관 주관 생활체육 이야기 공모전 실시
- 임해나-취안예, 아이스댄스 새 역사... 전 종목 입상으로 미래 밝힌 한국 피겨
- 피겨 차준환, 4회전 점프 올 클린… 챌린저 시리즈 정상
- 김재열 국제빙상연맹회장, 역대 12번째 한국인 IOC 위원 선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