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유효표 119표 중 77표 획득
윤홍근 회장의 지지 호소도 큰 힘
김재열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신임 회장. /대한빙상경기연맹 제공
김재열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신임 회장. /대한빙상경기연맹 제공

[한스경제=박종민 기자] 김재열(54) 전 대한빙상경기연맹 회장 겸 삼성글로벌리서치(전 삼성경제연구소) 사장이 비유럽인으로는 최초로 국제빙상경기연맹(ISU) 회장에 오르면서 한국 스포츠 외교력 강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고(故)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의 사위인 김재열 신임 회장은 앞서 10일 태국 푸껫의 힐튼 아카디아 리조트에서 진행된 2022 ISU 총회 회장 1차 선거에서 유효표 119표 중 77표(64.7%)의 압도적인 지지를 얻어 24표를 받은 퍼트리샤 피터 미국 피겨스케이팅협회 회장을 따돌리고 ISU 새 수장에 이름을 올렸다. 임기는 2026년까지 4년간이다.

ISU는 세계 쇼트트랙과 스피드스케이팅, 피겨스케이팅 등 빙상 종목을 총괄한다. 김재열 회장은 향후 ISU 이사회를 감독하며 주요 의제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1892년 창설된 ISU에서 비유럽 국가 출신 회장이 배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빙상계 주요 행정 결정이 유럽 국가들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걸 막고 비유럽 약소국에 대한 지원을 늘리겠다는 공약이 주효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대한빙상경기연맹 회장을 맡고 있는 윤홍근(67) BBQ 회장의 노력도 컸다. 이번 ISU 총회에 참석한 윤 회장은 집행위원들과 회원국 관계자들을 일일이 만나며 김 회장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선수단장으로서 개최국의 편파 판정에 대한 공식 항의와 긴급 기자회견에 앞장서며 리더십을 보인 윤 회장의 지지가 김 회장의 당선에도 힘을 보탰다는 분석이 나온다.

윤홍근 대한빙상경기연맹 회장. /연합뉴스
윤홍근 대한빙상경기연맹 회장. /연합뉴스

윤 회장은 "김 회장은 혁신을 통해 변화를 선도하고, 인적 및 물적 자원을 성장 발전시킬 수 있는 최적의 리더다. 오랜 시간 국내외 스포츠 단체에서 폭넓은 경험을 쌓아온 스포츠 행정가로서 그 능력을 앞으로 발휘해 세계 빙상 발전에 기여함은 물론 대한민국의 국격을 높이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낙관했다.

김 회장은 "스포츠는 국경과 인종을 초월해 세계를 하나로 연결하는 힘이 있다. 경제, 문화, 스포츠 강국으로 우뚝 선 대한민국의 사례를 모델 삼아 동계스포츠에서 소외된 세계 여러 나라에 희망과 격려, 성공의 메시지를 전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당선으로 김 회장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이 될 가능성도 생겼다. IOC는 가맹 국제연맹 회장 중 최대 15명을 IOC 위원으로 선출한다. ISU 회장직은 동계 종목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리라 김 회장이 IOC 위원으로 활동하게 될 수 있다. 김 회장은 2023년 IOC 총회에서 이기흥(67) 대한체육회장, 유승민(40) 선수위원에 이어 한국의 3번째 IOC 위원으로 뽑힐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 스포츠는 1988년 서울 올림픽과 2002년 국제축구연맹(FIFA) 한일 월드컵, 2011년 대구 육상선수권대회,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등 주요 대회 성공 개최에 이어 국제 스포츠 기구 관련 행정에서도 그 영향력을 확대해가고 있다.

박종민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