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초거대 AI 상용화 및 AI 서비스 한 단계 진화시킬 것”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KT가 ‘초거대AI’ 상용화를 앞당기고 자사의 인공지능(AI) 서비스 수준을 한단계 발전시킨다는 계획을 밝혔다.
KT가 지난 19일 서울 서초구 KT 융합기술원에서 ‘KT 디지코 스터디’를 열고 초거대 AI 기반으로 KT의 모든 AI 서비스를 한 단계 진화시킨다는 ‘KT AI 2.0’ 연구 방향을 발표했다.
KT는 더욱 진화된 AI를 구현하기 위해 AI 원팀에서 다자간 공동연구로 초거대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초거대 AI란 대용량의 연산이 가능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해 사람처럼 스스로 사고할 수 있도록 설계된 AI를 의미한다.
KT는 AI 원팀에서 기업의 대규모 투자를 통해 GPU 인프라를 구축하고 학교와 연구기관은 최신의 연구 동향을 반영한 기술을 제공하는 이상적인 산·학·연 협력 모델을 적용했다. 이에 따라 KT는 다른 참여기관들과 힘을 모아 대규모 GPU 인프라 구축, 데이터 수집·분석, 모델 학습, 응용태스크 적용 등 연구개발(R&D) 및 상용화 관련 업무를 총괄 수행하고 있다.
KT와 AI 원팀은 초거대 AI모델을 연내 상용화할 예정이다. 또 대규모 AI 연산 인프라를 구축하고, 향후 2000억 파라미터(매개변수) 이상의 모델까지 가능하도록 인프라 규모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KT의 초거대 언어모델은 즉시 상용화가 가능한 ‘과제 지향적(Task-Oriented)’ 형태로 설계된다. 초거대 언어모델을 통해 향상된 ‘음성-문자 자동 변환(STT, Speech To Text / TTS, Text To Speech)’, ‘텍스트 분석(TA, Text Analytics)’ 등 요소기술은 먼저 기가지니와 AICC 등 실제 상용화 중인 KT의 AI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KT는 초거대 AI 상용화와 함께 KT의 모든 AI 서비스 수준을 한 단계 진화시킨다는 구상이다.
B2C 영역에서는 사용자의 감성까지 공감할 수 있는 차세대 AICC를 개발한다. 또 육아나 법률 등 전문적인 분야에서도 AI가 사람처럼 연속적인 대화가 가능하도록 ‘멀티턴 전문 상담’ 서비스를 개발한다.
B2B 시장에서는 금융권을 중심으로 확산 중인 KT AICC의 대화품질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구현한다. 산업 현장에서 종사원들의 단순응대 노동을 최소화해 궁극적으로 AI가 적용된 분야의 산업 생산성을 30% 이상 올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배순민 AI2XL연구소장은 “AI 기술의 연구와 발전은 실제 사업 현장과 사용자와의 종합적 인테그레이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KT는 실제 매출을 만들고 AI 기술과 서비스의 선순환을 이뤄낸 독보적인 기업”이라고 말했다.
이어 “KT의 창의적인 연구진들과 함께 다양한 세대를 포용할 수 있는 공감하는 AI 기술을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재훈 기자 rlqm93@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