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상용화 목표…버티컬에어로스페이스 기체 사용
[한스경제=김정우 기자] GS칼텍스가 도심항공교통(UAM) 시장에 발을 들인다. 모빌리티·통신 기업 등과 손잡고 전국 주유소를 활용한 UAM 운용 체계 구축에 나선다.
11일 GS칼텍스는 전날 카카오모빌리티, LG유플러스, 제주항공, 파블로항공,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와 UAM 컨소시엄 구성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컨소시엄 참여 회사들은 국토교통부의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그랜드챌린지(K-UAM GC)’ 1단계 실증사업에 참여해 UAM 산업 초기 생태계에 진입하고 향후 UAM 산업에서의 추가적인 사업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다.
K-UAM GC 1단계 실증사업은 2025년까지 UAM의 국내 상용화를 목표로 비행체의 안전성, 교통관리 기능시험 등을 통합 운용하는 실증 프로그램이다. 올해 참가자 선정과정을 거친 뒤 내년부터 개활지 실증 비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컨소시엄 참여 회사들은 각자 역할을 분담해 UAM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GS칼텍스는 주유소 네트워크를 활용해 UAM 수직 이착륙장 ‘버티포트’를 구축한다. 주유소는 도심을 비롯해 전국에 고르게 분포돼 있고 천장 공간이 개방되어 비행체가 이착륙하기 용이해 UAM 거점으로 적합하다는 설명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자동체크인·보안검색기능 등을 구현한 버티포트 솔루션 구축을 담당하고 완성형 모빌리티 서비스(MaaS) ‘카카오T’ 운영 노하우를 기반으로 지상과 상공을 포괄하는 멀티모달(Multi-Modal) 모빌리티 비전을 제시한다.
LG유플러스는 UAM이 안전하게 운항하도록 모든 움직임을 관찰하고 통제해 기체 간 충돌 및 장애물 추돌을 막는 교통관리시스템과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제주항공은 항공 전문 인력과 운항 관련 시스템 등 축적된 항공운항 노하우를 기반으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운항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맡는다.
드론 솔루션·서비스 전문 기업인 파블로항공은 스마트 모빌리티 통합관제시스템(PAMNet)을 개발한 경험을 살려 UAM 통합운항관제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컨소시엄이 사용할 기체는 영국의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가 제작한다.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는 전 세계 시장에 1350여대 이상의 전기 수직이착륙기(eVTOL) 제작 선주문을 받은 UAM 기체 제조사로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시범비행을 진행할 예정이다.
GS칼텍스는 이번 협약에 앞서 CES와 두바이엑스포에서 UAM 거점 역할을 하는 미래 모습을 선보인 바 있다. GS칼텍스는 지난해 1월 열린 CES 2021에 참가해 미래형 주유소 영상을 출품하면서 주유소가 드론 배송 및 UAM 거점으로 활용되는 모습을 구현했다. 또 지난해 10월 열린 두바이엑스포의 한국관 증강현실(AR) 콘텐츠에서 수소충전소가 UAM 거점으로 활용되는 미래 도시 모습을 제시하기도 했다.
김정우 기자 tajo81911@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