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5G 정류기 등 전력 사용 감소 실현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LG유플러스가 친환경 네트워크 장배 개발로 전력 사용과 유지비용을 절감하며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을 선도한다.
LGU+는 8일 초고속인터넷 등 홈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프라인 광동축혼합망(HFC)을 광가입자망(FTTH)으로 교체하고, 친환경 정류기와 소형 외기냉방장치를 설치하는 등 ESG 경영에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HFC는 광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을 함께 사용하는 유선 가입자망이다. 과거 초기 초고속인터넷 보급 시기에 커버리지를 확장하기 위해 많은 곳에 구축됐으나 네트워크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신축건물에서는 광케이블만을 사용하는 광가입자망으로 대체되고 있다.
또한 수동소자를 사용해 별도의 전력소모가 없는 FTTH와는 달리 HFC에서는 전원공급기와 증폭기가 필요해 에너지 소모량이 많다. 이에 LGU+는 오는 2026년까지 HFC망을 FTTH망으로 전환하는 투자계획을 세우고 지난해 하반기부터 서울·수도권·6대 광역시 등에서 전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연간 약 3000만KWh(킬로와트시)의 전력소비와 1만3436톤의 탄소배출 절감 효과를 얻고 있다. LGU+는 앞으로도 다년간 HFC망의 전환으로 전력 사용량을 절감하는 활동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권준혁 LG유플러스 NW부문장(전무)은 “유선 가입자망의 전환과 같은 네트워크 인프라 업그레이드 사례를 확대해 통신서비스에서의 고객경험을 혁신하고, ESG경영의 일환인 ‘친환경 경영’에 기여하도록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LGU+는 5G 상용화 시기인 2019년부터 친환경 고효율 정류기를 도입해왔다. 정류기란 발전소에서 보내온 직류 전기를 교류로 바꿔 기지국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비이다. 정류효율성을 약 4%p 높여 연간 700KW(킬로와트)의 전력을 절감하고, 2021년말까지 151만KWh의 에너지를 아낄 수 있었다.
이 밖에도 2015년부터 전국 국사에 건물 밖 공기를 끌어들여 실내 기온을 낮추는 소형 외기 냉방장치를 설치해 지난해 말까지 9645만KWh의 전력 사용량을 절감했다.
김재훈 기자 rlqm93@sporbiz.co.kr
관련기사
- ‘창업부터 홍보까지’…LGU+, 엔데믹 대비 소상공인 지원 상품 출시
- LGU+, 콘텐츠 역량으로 강원도 지역 관광 활성화 지원한다
- LGU+, ‘U+아이돌Live’로 K-POP 아이돌 공연 방구석 직관한다
- LGU+, 1Q 매출 전년 대비 0.2% 소폭 감소…신규 플래그십 지연 영향
- ‘특별한 번호를 원한다면’…LGU+, 상반기 골드번호 추첨
- 황현식 LGU+ 사장, 고객 서비스 향상 독려…“지속 성장 첫 단계”
- “AI‧데이터가 수익 핵심”…LGU+, 디지털 혁신 기업 전환 선언
- ‘6G 선도 선언’ LGU+, 양자컴퓨터로 저궤도 위성 최적화 연구 착수
- LGU+, 사옥 LED 전구•친환경 내방으로 탄소 절감 실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