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주요 권역 중 가격변화 가장 두드러져
[한스경제=서동영 기자] 지지부진한 재건축으로 아파트 가격이 잠잠했던 1기 신도시가 대선 이후 급반전했다.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대선 전후 가격 상승폭이 3배 이상 높아졌다.
2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대 대통령 선거 전·후 아파트 매매 변동률이 가장 급격히 변한 곳은 1기 신도시 일대로 나타났다.
1기 신도시는 지난 1월 1일부터 3월 9일 대선 전까지 약 2개월 동안 0.07% 상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대선 이후 3월 10일부터 지난 22일까지 약 2개월 동안 0.26% 올랐다. 상승폭이 3배 이상 높아진 것이다. 윤석열 당선인 공약인 1기 신도시 재정비 특별법에 따른 용적률 상향 기대감이 아파트 가격(시세)에 반영됐기 때문이다.
1기 신도시 중 대선 이후 가장 많이 상승한 곳은 고양 일산신도시(0.52%)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부천 중동(0.29%) 분당(0.26%) 산본(0.14%) 평촌(0.12%)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한편 가구당 평균가격 기준으로 분당(12억5000만원) 평촌(8억7000만원) 일산(6억8000만원) 산본(5억7000만원) 중동(5억6000만원) 순으로 확인된다. 아무래도 자금이 부족한 수요층들이 대출 규제와 가격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한 신도시 위주로 유입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서울과 수도권 내 다른 지역과 비교해봐도 상승폭이 두드러진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으로 시장의 이목이 집중된 용산구조차 대선 전·후 1.15%→0.39%로 추세 변화가 미미한 편이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서울(0.25%→0.08%), 경기(0.06%→0.03%), 수도권 전체(0.15%→0.05%)는 대선 전후 상승폭이 되려 둔화됐다. 2기 신도시(-0.25%→-0.23%)와 인천(-0.16%→-0.19%) 등은 약세를 보였다.
다만 차기정부 부동산 정책 방향이 향후 가격 상승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재건축 규제 완화를 놓고 속도 조절에 나서는 분위기다. 특히 준공 30년이 넘어선 아파트에 대한 정밀안전진단 폐지 공약은 노후 아파트에 대한 과도한 투자 수요를 이끌 수 있어 전면 재검토에 들어간 모양새다.
그럼에도 대표적인 재건축 대못으로 꼽혔던 안전진단 절차(구조안전성 비중) 강화나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분양가상한제 등은 시장 현실에 맞게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재초환과 분상제 등이 조정되면 서울과 1기 신도시 노후 아파트를 중심으로 자산 가치에 대한 재평가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서동영 기자 westeast0@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