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포트폴리오 다양화
세포유전자치료제 진출
글로벌 기업·기술 M&A
[한스경제=변동진 기자] “올해 상반기 코로나19 백신(GBP510) 국내 허가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31일 오후 기업공개(IPO) 1주년을 기념해 개최한 온라인 기자간담회에 이같은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넥스트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백신 포트폴리오 다양화와 세포유전자치료제(CGT) 진출, 글로벌 백신 기업 및 신기술 인수합병(M&A) 투자 등을 제시했다.
안 사장은 이날 “아직 전세계 인구의 36% 정도는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도 하지 못한 상태”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제약사 대비 늦은 개발로 인한 시장 점유율 우려에 대해 일축한 것이다.
GBP510는 전염병예방혁신연합(CEPI)의 지원을 받아 미국 워싱턴대학과 공동 개발한 합성 항원 방식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이다. 다국적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의 면역증강제 ‘AS03’이 활용됐다. 현재 임상 3상 대상자 투여를 마치고 결과를 정리하고 있다. 이르면 내달 중 결과가 공개될 예정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GBP510의 국내 허가 이후 올 3분기까지 영국과 유럽의약품청(EMA), 세계보건기구(WHO) 허가 등을 완료할 계획이다. ‘부스터샷'(추가접종)과 교차접종, 청소년 접종 등에도 활용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안 사장은 백신 포트폴리오 다양화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오미크론 등 다양한 코로나19 변이에 대응하는 ‘다가(多價) 백신’과 ▲독감과 코로나19를 동시에 표적하는 ‘콤보(Combo) 백신’ ▲코로나19 백신 개발 플랫폼을 활용한 ‘사베코바이러스(sarbecovirus) 범용 백신’ 등이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도 회사는 지속성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안 사장은 “코로나19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이 지속될 수 있느냐는 우려가 나오는 것으로 안다”며 “앞으로는 2∼3년은 안정적으로 지속할 수 있고 이후에는 코로나19 포함한 다른 백신의 CDMO 사업으로 확장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SK바이오사이언스는 노바백스와 추가 CDMO 계약을 논의 중이고,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사와 CDMO 사업을 논의 중이다. 글로벌 공급 확대를 위해 EU-GMP(유럽 우수의약품 품질관리 기준) 인증을 받은 생산라인을 추가로 확보하고, 미국 cGMP도 확보해 북미 등 선진 시장 진출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지난해 3월 IPO를 통해 확보한 자금과 영업활동으로 축적한 현금성 자산 등으로 글로벌 백신 기업과 신기술을 대상으로 한 M&A에 투자한다. 새로운 백신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mRNA 기술 확보를 위해 현재 복수의 회사와 전략적 투자 및 R&D 협력 모델을 논의 중이다.
사업 영역 확대를 위해 세포유전자치료제(CGT) 시장에도 진출하겠다고 선언했다. 개발을 진행 중인 차세대 폐렴구균 접합백신, 소아장염 백신, 장티푸스 접합백신의 임상에도 속도를 내고 외부에서 A형 및 B형 간염, 콜레라 등 신규 백신 후보물질 인수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생산 인프라도 강화한다. 지난해 매입한 인천광역시 송도의 3만413.8㎡(약 9216평) 부지에 ‘송도 글로벌 R&PD 센터’를 설립하고, 백신 연구와 글로벌 바이오 인력을 양성할 방침이다. 준공 목표는 오는 2024년 말이다.
안 사장은 “일부 글로벌 제약사들이 점유하고 있는 시장에 뛰어드는 건 낮은 확률의 성공에 대한 도전이었지만, 인류에 공헌하겠다는 사명감을 갖고 백신 사업을 추진해 전세계에서 주목하는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며 “향후에도 글로벌 공중보건을 수호할 생태계를 조성하고 전 세계 백신·바이오 분야의 혁신적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자 전략적 투자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변동진 기자 bdj@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