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산은·수출입은행과 재무구조개선 약정 조기종료
긴급 자금지원 요청 23개월만…"구조조정 모범사례"
두산그룹 제공
두산그룹 제공

[한스경제=김준희 기자] 유동성 위기에 휘말렸던 두산그룹이 약 2년 만에 구조조정을 마무리하고 채권단 관리 체제에서 벗어났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28일부로 채권단과 두산그룹 간 체결한 재무구조개선 약정(MOU)에 의한 채권단 관리 체제를 종결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두산중공업이 지난 2020년 3월 산은에 긴급 자금지원 요청을 한지 23개월 만이다.

산은은 “재무구조개선과 향후 사업전망에 대한 외부전문기관 재무진단 결과 두산중공업 재무구조가 다시 독립경영이 가능한 수준까지 회복된 것으로 확인했다”며 “MOU 조기 종결 결정에는 재무지표 개선 등 전통적인 기준뿐만 아니라 국가 기간산업인 ‘에너지 분야 대표기업’으로서 중요성도 감안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성공적인 재무구조 약정 종결을 통해 에너지 분야 대표기업인 두산중공업이 유동성 위기 극복뿐 아니라 ‘미래형 사업구조로 새출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고 덧붙였다.

분당두산타워. /두산중공업 제공
분당두산타워. /두산중공업 제공

두산은 지난 2020년 6월 산은·수출입은행과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체결한 뒤 채권단 요구에 따라 계열사 보유 자산 매각과 두산중공업 자본 확충을 주요 골자로 하는 자구계획을 수립했다.

약정 기간 두산그룹이 매각한 계열사 자산은 총 3조1000억원에 달한다. 매각 대상에는 두산인프라코어(8500억원), 두산타워(8000억원), 두산솔루스(6986억원), 두산건설 등 두산그룹 핵심 계열사 자산이 포함됐다.

두산그룹은 지난 18일 마무리한 1조15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포함해 두산중공업에 총 3조4000억원 자본을 확충해 재무구조를 개선했다.

산은은 두산그룹 약정 조기종료에 대해 “짧은 기간 계열 대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모범 사례”라고 평가했다.

김준희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