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기 내부 코팅 실리콘오일 눈 속에 투여돼 면역반응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선임기자] 황반변성 등 다양한 망막질환 치료를 위해 약물을 눈 속에 투여하는 안구주사 치료 후에 간혹 안구 내 염증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 같은 이유가 주사기의 종류와 사용방법의 차이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구내 주사 후 발생하는 염증에는 균 감염과 관련된 ‘감염성 안내염’과 균 감염과 관계없이 발생하는 ‘무균성 안내염’이 있다. 감염성 안내염은 균 감염이 원인이지만, 무균성 안내염은 그 원인이 뚜렷하지 않다.
드물게 발생하지만 심한 경우 유리체 혼탁 등 시력 저하가 생길 수 있어서 수주에 걸쳐 경구 및 국소 스테로이드 제제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기존에는 약제 자체의 면역 반응이 그 원인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명확한 인과관계가 밝혀진 바는 없었다.
이런 가운데 중앙대병원 안과 김지택 교수팀이 안구 내 주사 치료를 받은 총 498명 환자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주사기를 사용해 주사 후 발생한 ‘무균성 안내염(sterile endophthalmitis)’의 발생 빈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주사기의 종류에 따라 주사 후 무균성 안내염의 발생 빈도가 유의미하게 다르게 나타난 것이 확인됐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주사기는 ‘1㎖ 일회용 주사기’와 ‘1-㎖ 벡톤 디킨슨 루어록 주사기’ 두 종류로, 각각 안구 내 주사 시행 후 두 그룹 간 무균성 안내염 발생 빈도를 비교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그 결과, 1㎖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한 215명 환자 중 6명(2.791%)이 무균성 안내염 진단을 받았고, 1-㎖ 벡톤 디킨슨 루어록 주사기를 사용한 283명의 환자 중에서는 1명(0.353%)만 무균성 안내염 진단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안구주사 치료에 있어 루어록 주사기가 일회용 주사기에 비해 무균성 안내염의 발생 위험이 낮은 데 대해 연구팀은 실리콘오일 때문으로 분석했다.
김지택 교수는 “일반적으로 ‘애플리버셉트(aflibercept)’라는 약제를 주사기로 뽑을 때 주사기 내에 작은 공기 방울이 생기는데 공기방울을 제거하기 위해 주사기를 튕기는 과정에서 주사기 종류에 따라 내부에 코팅된 실리콘오일 일부가 약제와 함께 눈 속으로 투여돼 실리콘오일/단백질 복합체가 만들어진다”며, “실제 연구에 사용된 두 종류의 주사기 중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 내의 실리콘오일의 성분과 양, 주사기의 구조 등이 실리콘오일/단백질 복합체 형성에 영향을 미쳐 안내염 발생률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이어 “안구 내 주사 시 약제를 뽑을 때 공기 방울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고, 주사기를 튕기는 것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실리콘오일로 인한 무균성 안내염의 염증 반응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라며 “국내에도 애플리버셉트 프리필드(pre-filled) 주사약제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안과학 분야 상위 50% 국제학술지인 국제안과학저널 최신호에 실렸다.
홍성익 기자 hongsi@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