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분당 일대의 CJ대한통운 배송 사실상 불가능"
CJ대한통운 사회적합의 불이행 규탄 기자회견/연합뉴스
CJ대한통운 사회적합의 불이행 규탄 기자회견/연합뉴스

[한스경제=박지은 기자]민주노총 전국택배노조 CJ대한통운본부(택배노조)와 사측인 CJ대한통운의 갈등에 지난달 28일부터 한 달 넘게 파업을 이어오고 있지만 해결의 실마리는 보이지 않고 있다.

이번 파업 참여자는 쟁의권이 있는 1650명으로, 전체 택배기사 2만여명의 8%에 불과하다. 또한 배송 지연 지역에 대한 집하 제한조치 및 다른 기사를 통한 대체 배송이 이어지면서 파업 여파는 차츰 수그러들고 있다.

그러나 지역 내 조합원 비율이 높은 경기도 광주시와 성남시, 창원시, 울산시 등은 사정이 다르다. 특히 광주와 성남지역을 총괄하는 성남터미널의 경우 소속 택배기사170여명 중 120여명이, 분당터미널의 경우 소속 기사 70여명 전원이 파업에 참여하고 있을 정도로 조합원 비율이 높다.

이로 인해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분당 일대의 CJ대한통운 배송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다. 이로 인해 다른 택배사 역시 주문이 쏠리면서 과부하로 배송이 지연되거나 주문 접수 자체가 제한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와 택배업계 등에 따르면 이번 갈등의 배경은 사회적 합의 이행을 둘러싼 노사 양측의 시각차에서 비롯한다.

노조는 사회적합의로 인상된 택배요금의 절반 이상을 원청인 CJ대한통운이 추가 이윤으로 가져가는 등 사회적합의가 제대로 이행되고 있지 않다고 지적한다.  또 수도권 대다수 터미널에서 여전히 택배 노동자들이 분류작업 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한다.

반면 CJ대한통운은 택배비 인상분의 절반 정도는 기사 수수료로 배분되고 있으며 새해부터 5천500명 이상의 분류 지원인력을 투입해 사회적 합의를 이행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지난 24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대부분의 택배사들은 사회적 합의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가 현장점검을 한 택배사 25곳 모두 분류 작업에서 택배 기사가 제외됐거나 기사에게 별도의 분류 비용을 지급하고 있었다.

이렇게 국토교통부의 자료가 공개 되자 사측의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는 형국이다. 

한국통합물류협회는 "택배노조에서 주장하는 사회적 합의 불이행이라는 파업의 근거가 사라진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노조에 파업 중단을 촉구하는 성명을 내기도 했다.

하지만 노조는 "파업 사태의 근본 원인은 사측이 택배 요금 인상분을 사회적 합의에 따라 정상적으로 집행하고 있느냐 여부다. 사회적 합의 이행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CJ대한통운을 규탄하겠다"며 다음달 11일 서울을 중심으로 노동자대회를 개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국토부의 조사결과도 “택배사들이 점검 날짜를 미리 알고 일시적 대비책을 마련했다. 이는 국토부가 CJ대한통운에 면죄부를 준 것”며 반박했다.

노조는 지난 14일 100인 단식 농성과 18일 전 조합원 서울 상경 투쟁을 개최하는 등 파업 수위를 높여왔으며 이재현 CJ그룹 회장 자택 앞 투쟁도 계속 진행 중이다.이처럼 양측 주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택배 노조의 파업은 설 연후 이후로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박지은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