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의제부터 참석자까지 직접 챙겨
미중 패권·글로벌 공급망 등 현안 논의
2박3일간 '채텀하우스 룰'로 진행
[한스경제=최정화 기자]최태원 SK그룹 회장이 한·미·일 3국 전·현직 고위 관료와 학자, 재계 인사를 한자리에 모아 포럼을 연다. 최 회장이 이사장을 맡고 있는 최종현학술원에서 첫 개최하는 이번 포럼에선 미·중 패권경쟁, 북핵, 글로벌 공급망 등 다양한 현안들을 논의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최종현학술원은 '제1회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TPD)를 다음달 6~8일 미국 워싱턴D.C. 인근 샐러맨더에서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최종현학술원은 최 회장이 수년간 공들여 출범시킨 것으로 매년 정례화할 예정이다.
SK 관계자는 "TPD는 범태평양 지역 민간외교와 정책공조의 필요성을 강조해온 최 회장이 지난 수년간 구상해 만든 지정학 위기 해법과 경제외교 대안제시를 위한 새로운 플랫폼"이라며 "최근 경제현안으로 떠오른 글로벌 공급망 문제는 물론 미·중 패권경쟁과 북핵 등 안보 이슈, 첨단기술을 둘러싼 무한경쟁 등 범태평양 국가나 기업들이 마주한 도전 과제에 대한 해법을 찾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TPD는 △미·중 전략 경쟁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미·일 협력 △북한핵 문제와 한미동맹 △첨단과학기술 혁신이 지정학에 미치는 영향 △반도체, 배터리, 백신분야 글로벌 공급망의 미래 등 5개 세션으로 구성돼 있다.
이번 TPD에 참석하는 미국 측 인사는 척 헤이글 전 국방부 장관, 리처드 아미티지 전 국무부 부장관, 웬디 커틀러 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수석대표, 로버트 아인혼 전 국무부 비확산·군축담당 특보 등이다.
학계와 싱크탱크, 재계 관계자도 대거 참석한다. 조셉 나이 하버드대 교수, 존 미어샤이머 시카고대 교수, 존 아이켄베리 프린스턴대 교수, 스탠리 휘팅엄 뉴욕주립대 교수(2019년 노벨화학상), 수재 킹 류 UC버클리 공대학장, 에드윈 퓰너 헤리티지재단 회장, 새프라 캐츠 오라클 최고경영자(CEO) 등이다.
최종현학술원 관계자는 "미국 측 전·현직 고위관료를 비롯한 지도층 인사들이 대거 참석하는 것은 지금까지 미국이 집중해 온 유럽 중심의 범대서양 대화체제에서 탈피해 동북아 지역 지도자들과의 대화로 중심축을 전환할 필요성을 논의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라며 "한국 민간외교가 한반도와 북한 중심에서 벗어나 국가적 위상을 확대하는 계기를 조성했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일본에서는 나가시마 아키히사 前 방위상, 후지사키 이치로 나카소네 평화 연구소 이사장, 마츠카와 루이 자민당 참의원 등 정관계 인사들은 물론 일본을 대표하는 국제정치학자인 후지와라 키이치 도쿄대 교수, 타카하라 아키오 도쿄대 교수 등이 참석한다.
한국에서는 최태원 이사장을 비롯해 이홍구 전 총리, 정재호 서울대 교수, 이숙종 성균관대 교수, 박철희 서울대 교수, 김병연 서울대 교수, 박인국 최종현학술원 원장, 안호영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위성락 전 주러시아 대사, 김성한 고려대 교수, 이근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홍균 전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손지애 이화여자대 교수, 글로벌 공급망과 관련하여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과 강기석 서울대 교수 등도 참석한다.
학술원 관계자는 "올해 처음 열리는 TPD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최 회장이 아젠다 선정부터 일일이 챙겼고, 일부 인사들에게는 여러 차례 연락해서 참석 수락을 확보하는 등 상당한 공을 들였다"고 말했다. 2박 3일간 진행되는 이번 TPD에서는 허심탄회한 토론을 위해 회의 발언 내용을 외부에 공개하지 않는 '채텀하우스 룰'로 진행될 예정이다.
최정화 기자 choijh@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