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양사 투자 관련 MOU, 내달 말 정식 투자계약 체결 계획
2파전 벌이던 이앨비앤티, 자금조달 증빙 부족으로 제외
쌍용차의 새로운 주인으로 에디슨모터스가 유력해졌다. /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법정 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쌍용자동차의 새로운 주인으로 에디슨모터스가 유력해졌다.

서울회생법원은 20일 쌍용차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쌍용차는 2010년 인도 마힌드라와의 인수·합병(M&A) 이후 10년 만에 다시 본격적인 매각 절차에 돌입하게 됐다.

이번 쌍용차 인수 경쟁은 에디슨모터스와 이엘비앤티(ELB&T)의 2파전으로 진행됐다. 본입찰에서 이엘비앤티 컨소시엄은 5000억원대 초반,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은 2000억원대 후반을 써낸 것으로 알려졌다.

법원이 이날 입찰가를 더 높게 쓴 이엘비앤티 컨소시엄을 인수 후보에서 제외한 것은 에디슨모터스의 자금조달 및 경영 정상화 계획이 더 신뢰성이 있다고 판단한 결과로 풀이된다. 법원은 "쌍용차의 관리인 보고 평가 결과 이엘비앤티 컨소시엄은 자금조달 증빙이 부족해 평가에서 제외됐다"고 설명했다.

양측은 지난달 15일 인수제안서를 제출했지만, 법원이 자금 증빙과 경영 정상화 계획 등을 다시 제출하라고 요구하는 바람에 이달 15일 보완된 서류를 다시 제출했다. 에디슨모터스는 이후 인수금액을 3000억원대로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전기버스 업체인 에디슨모터스는 쎄미시스코, TG투자와 쌍용차 인수 이후 운영을 책임지고 키스톤PE와 KCGI는 재무적 투자자로 쌍용차 정상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또한 쌍용차를 전기차 회사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이며 자사 전기버스 생산 노하우를 이용해 내년까지 10종, 2030년까지 30종의 신형 전기차를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에디슨모터스는 초반 자금력에 의문이 제기됐지만 사모펀드 KCGI·키스톤프라이빗에쿼티(PE), TG인베스트먼트 등과 컨소시엄 연합체를 꾸리며 분위기를 반전시켰다. 전기버스를 판매하며 지난해 897억원의 매출을 올려 이엘비엔티에 비해선 비교적 건실한 사업실적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다.

쌍용차는 조만간 에디슨모터스와 투자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다음달 말 정식 투자계약을 체결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김재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