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18세 이상 성인 ‘코로나19’ 1차접종률 90% 돌파
인구 대비 1차접종률 77.9%…18세 이상 성인 접종률 90.6%
오늘부터 국내 첫 부스터샷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선임기자] 국내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자가 마침내 400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 226일 첫 접종이 시작된 이후 7개월여 만이다.

 

                 11일 0시 기준 연령대별 접종현황/제공=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자는 11일 오후 4시 기준으로 누적 4000654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12월 기준 전체 인구 51349116명의 77.9%에 해당하는 수치다. 접종대상 연령인 18세 이상만 계산하면 90.6% 수준이다.

 

1차 접종자 4000만명 돌파는 올해 226일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국내에서 처음 시작된 이래 7개월14일째, 정확히는 228일째만의 성과다.

 

다만, 지난 21849세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1차 접종이 일단락 된 이후 1차 접종자수는 하루 수천~수만 명 규모로 증가세가 완만해진 상태다.

 

현재는 18세 이상 미접종자와 외국인 근로자 등이 1차 접종을 받고 있으며, 오는 18일부터는 임신부와 1617세 청소년이 1차 접종을 시작할 예정이다.

 

11일 오후 4시 기준으로 백신별 권고 횟수대로 모두 마친 접종 완료자는 3059210명으로 집계됐다. 인구 대비로는 59.6%이다.

 

방역당국이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의 중요한 이정표로 여기고 있는 접종률은 1차 접종은 80%, 접종 완료는 70%이다.

 

인구 대비 60%30809770, 70%35944381, 80%41079293명이다.

 

11일 오후 4시 기준으로, 누적 1차 접종자의 경우 인구 대비 80%까지는 1072477명이 부족하고, 누적 접종완료자의 경우 인구 대비 60%까지는 219560, 70%까지는 5354171명이 남아 있는 셈이다.

 

앞서 추진단의 110시 기준 발표에서는 1차 접종의 경우, 신규 2723명이 추가돼 39923747만명으로, 인구 대비 77.7%, 18세 이상 대비 90.4%였다.

 

추진단은 면역형성 인구를 최대한 확보해 코로나19로 인한 중증사망을 예방하고,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안전하게 전환하기 위해, 미접종자의 접종을 당부한다고 강조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 1차접종률은 932.1%, 접종완료율 89.1%, 50대는 1차접종률 94.0%, 접종완료율 90.6%였다.

 

18~49세는 1차접종률 88.9%, 접종완료율 48.8%로 집계됐다.

 

김기남 추진단 접종기획반장은 현재 18세 이상 연령층에 대한 2차접종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며, “10월 중 18~49세 청장년층을 중심으로 2차접종이 집중적으로 진행돼 10월 중 인구대비 70% 이상 접종완료도 차질없이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또 “1차접종을 안한 국민 중 접종 참여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조만간 누적 1차접종자 수가 4000만명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현재 16~17세 소아청소년 및 임신부 접종과 60세 이상 및 고위험군 대상 추가접종에 대한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이 진행 중이다.

 

특히, 오늘(12)부터 코로나19 치료병원 종사자 중 2차 접종 후 6개월이 지난 종사자들에 대한 추가접종(부스터 샷)이 시작된다.

 

지난 3월부터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행한 코로나19 치료병원 약 160개소가 대상이다.

 

추가접종은 화이자 백신으로 실시되고, 접종은 해당 의료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진행된다.

 

김기남 접종기획반장은 코로나19 치료병원은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한 거점전담병원, 감염병전담병원, 중증환자 치료병상 의료기관으로, 해당 기관의 종사자 약 45000명이 12일부터 순차적으로 추가접종 받게 된다, “의료기관별로 추가접종 대상자를 사전 조사해 기관별로 백신 배송을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해당 의료기관에서는 코로나19 예방접종관리시스템을 통해 접종대상자별 1, 2차 접종이력 및 백신종류를 철저히 확인한 후 예방접종을 시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