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재훈 기자]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로보틱스로 미래 모빌리티 사업을 주도하겠다는 자심감을 내비췄다.
현대차그룹은 13일 현대모터스튜디오 고양에서 열린 ‘국회 모빌리티 포럼’ 3차 세미나에서 로보틱스 연구개발 현황 및 미래 발전 방향 등을 발표했다.
정 회장은 축사를 통해 “현대차그룹이 모빌리티와 로보틱스 등 기술에 대한 투자를 하고 연구개발(R&D)에 박차를 가하는 목적은 결국 우리들과 우리 후손을 포함 모든 인류의 편안함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로보틱스는 기술 자체가 목적이 아닌 오로지 인간을 위한 수단으로 앞으로 안전성 등에 중점을 두고 기술을 차근차근 개발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인간을 위한 기술개발을 목표로 ▲웨어러블 로봇으로 대표되는 관절로봇기술 ▲HRI(Human-Robot Interaction) 솔루션의 집합체인 AI서비스로봇기술 ▲인류의 이동성에 혁신을 가져올 로보틱 모빌리티를 중심으로 핵심 기반 기술을 내재화하고 새로운 미래 로보틱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현동진 현대차그룹 로보틱스랩장은 “미래 모빌리티 시스템들은 센서 퓨전을 통한 환경인지기술, 인공지능을 이용한 판단기술, 메카트로닉스를 이용한 제어기술 등 기본적인 로봇 시스템 구성과 매우 유사하다”며 “이 점에서 미래 모빌리티 기술에서 로보틱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자율주행 ADAS 등 현대차그룹의 기술 역량이 로보틱스 기술개발과 함께 미래 모빌리티의 파급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그는 “로봇 산업은 하나의 제품 안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함께 개발되고 발전해야 하는데 이점은 자동차 산업과 유사하다”며 “자동차를 개발하며 쌓은 역량이 로봇 기획, 제작, 운영 프로세스에 그대로 녹아들 수 있다는 것이 현대차그룹이 가진 강점”이라고 말했다.
김재훈 기자 new@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