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대책위가 택배회사의 수익만 불려줬다는 비판이 높아지고 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박슬기 기자] 택배기사들의 근로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나선 택배노동자과로사대책위원회(이하 택배대책위)가 택배회사의 수익만 늘려줬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민주노총 산하의 주도로 설립된 택배대책위는 최근 택배기사들의 분류작업 제외와 근로시간 단축 등을 요구하며 대형택배사와 2차에 걸친 합의를 이끌어 냈다.

 

합의 주요 내용은 ▲택배기사의 분류작업 제외는 2021년 내 완료 ▲택배 원가 상승요인 170원임을 확인 ▲택배기사 작업 시간 주 60시간으로 제한 ▲세부 이행계획(부속서)의 주요 내용은 표준계약서에 반영 등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합의 과정에서 분류작업 별도 인력 고용 등의 이유로, 가격 인상 빌미만 제공한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실제 지난 3월 CJ대한통운과 롯데글로벌로지스는 기업고객 운임을 각각 250원, 150원 올렸다. 7월에는 한진이 기업고객 택배 단가를 170원 인상했다. 로젠택배도 기업과 개인 고객 택배비를 모두 10% 올렸다.

 

이 가운데 사회적 합의를 통해 인상한 택배 요금 170원 가운데 60% 이상이 원청 택배사인 CJ대한통운에 돌아간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택배노동조합은 지난달 30일 기자회견을 열고 택배기사 보호를 위한 인상금액 170원에서 분류비용과 산재고용 보험료 등에는 약 65원만 투입되고, 나머지 약 105원은 CJ대한통운의 초과이익으로 돌아간다는 내용이 담긴 CJ대한통운과 택배대리점연합회 간의 합의 내용을 공개했다.

 

실제 CJ대한통운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한 2조7472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한 906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부터 진행한 판가인상으로 간선·도급 비용 및 분류 지원 인력 투입 부담에도 택배 부문 영업이익률을 6.1% 기록했다. 택배노조가 대기업 택배사들만 배불리는 데 공언을 한 셈이다. 

 

택배노조와 대형택배사들의 싸움은 결국 자영업자 피해로도 이어졌다. 택배 가격 인상이 택배를 기반으로 영업하는 사업자들에게 비용 증가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택배노조의 헛발질이 결국 기업이 떠안아야 하는 문제를 사회적 비용으로 전가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 물류업계 관계자는 "쿠팡과 같이 배송기사 직고용과 분류작업 전담 운영을 통해 주5일 52시간 근무가 가능한 모델을 택배사에 요구해야 했다"라며 "대책 없이 사회적 합의에 이른 택배대책위가 결국 대기업 배만 불렸다"라고 비판했다. 

박슬기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