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우승준 기자] 여권 잠룡들이 범야권 대선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 부인 김건희씨의 박사 논문 표절 논란을 놓고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윤 전 총장 부인 의혹이 여권 잠룡들간 도덕성 검증으로 신경전이 형성된 것이기도 하다.
◆강민정 열린민주당 의원이 쏜 ‘김건희 논문 표절’ 논란
우선 김씨의 박사 논문 표절 논란은 논문을 검증한 강민정 열린민주당 의원에 의해 제기됐다. 강 의원은 12일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문제가 되는 논문은) 박사 논문까지 하면 4편”이라며 “(김씨의 논문을 직접) 다 봤디. 다 보느라고 머리에 쥐가 났다. 이게 진짜로 해독이, 독해가 잘 안 된다”고 운을 뗐다.
강 의원은 “글이 왜 (독해 및 해독 등이) 안 나가냐 하면 이게 은, 는, 이, 가, 을, 를 등이 있다. 국어의 아주 기본적인 문법 구성의 중요한 부분인데 이게 잘 안 돼 있는 것”이라며 “그런데 보통 이제 이분이 쓴 글을 읽다 보니까 한 문장에 5줄이나 6줄 되는 이런 장문들이 의외로 되게 많다”고 설명했다.
강 의원은 재차 “그런데 이런 장문에 은, 는, 이, 가, 을, 를, ~를 위해, ~를 통한 이런 게 전혀 제 위치에 안 돼 있으니까 완전히 이 글이 도대체 한 문장을 읽고 나도 이게 무슨 뜻이지, 이게 뭘 말하는 거지, 이런 게 계속 걸렸다”고 했다.
강 의원은 그러면서 “제가 중학교에서 25년 동안 아이들 수업했던 교사 출신”이라며 “그런데 ‘아(비문)’ 이런 정도의 문장을 참 그렇게 자주 못 봤던 것 같다”고도 했다.
강 의원은 김씨의 논문 표절 의혹을 묻는 진행자 질의엔 “이거는 제가 읽다가 핸드폰으로 ‘운세 컨텐츠’ 이렇게 입력을 해서 검색을 해보면 바로 나오는 블로그 기사나 아니면 온라인 전자신문이나 온라인 인터넷 매체 기사나 블로그 글이나 이런 걸 그냥 읽으면서 제가 찾아보니까 그냥 바로 나오는 게 여기에 그냥 논문 안에 들어가 있다”고 강조했다.
강 의원은 또 다른 사례로 “전혀 없고 논문 하나는 또 어떻게 돼 있냐 하면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이라는 데가 있다”며 “그런데 여기서 이제 일종의 내부에서 작성한 보고서고 보통 이런 공공기관의 보고서는 제목하고 그다음에 내용하고를 개조식으로 써놓는다. (헌데) 이거를 그대로 가져와서 그 개조식으로 돼 있는 거에다가 조사를 붙이고 서술어를 붙이는 거다. 보통 논문에 보면 그 앞에 이렇게 짧게 요약으로 이렇게 원문 초록을 해놓는다. 그런데 이게 자기가 2002년도 외대 논문 초록에 제가 이렇게 빨갛게 표시해놓은 이 2개의 단어를 빼놓고는 완벽하게 그대로 가져왔다. 이거를 자기 논문 초록으로 실었다”고 주장했다.
강 의원은 이같이 주장한 후 “김씨의 박사 학위 논문이 아니고 조국 전 장관 부인의 박사 학위 논문이었다면 과연 어떤 상황이 벌어졌을까 상상할 수 있다”며 “조 전 장관 부인이나 가족들한테 했던 것만큼 엄격하고 철저하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본인이 얘기해야 된다”고 촉구했다.

◆이재명·이낙연·추미애 등 ‘김건희 논란’ 놓고 갑론을박
여권의 대권주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이른바 김건희 논란에 대해 “(윤 전 총장이) 결혼하기 전에 벌어진 일을 어떻게 책임지겠나”라며 “배우자라고 검증을 빼자는 뜻이 아니다. 그러나 책임질 수 없는 것에 대한 책임을 묻는 건 안 된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지사는 12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후보가 역량 있느냐 아니면 이 나라 대표할만하냐 라는 것인데 그러다 보면 후보 관계되는 건 다 해야 된다”며 “그러나 결혼하기 전에 아무 관계도 없는 시절에 그 얘기는 사실은 그건 후보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는 영역 아닌가”라고 설명을 더했다.
실제 윤 전 총장 아내 김씨의 박사 학위 의혹은 김씨가 윤 전 총장과 결혼하기 전에 발생한 일이다.
반면 여권의 또 다른 대권주자인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지난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대통령 가족도 사생활은 보호해야 옳지만, 위법 여부에 대해선 엄중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전 대표의 이러한 발언은 이 지사의 발언과 궤를 달리 한다.
이 전 대표는 12일에도 BBS 라디오 ‘박경수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대통령은 국가의 얼굴이고 대통령의 가족 또한 국가의 얼굴”이라며 “그래서 사생활까지 이것저것 들춰내자는 것은 아니지만 사회적으로 문제가 될 만한 것, 국민 다수가 관심을 가질 만한 것은 들춰내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 전 대표는 “그것을 감춘다고 해서 감춰지는 것도 아니다”라며 ‘저는 대통령보다 아래인 총리가 되기 위해서도 이틀 동안 청문회를 받았다. 심지어는 ’며느리 성적 증명서 내놔라‘ 그런 얘기까지 들었다“고 설명했다.
이 전 대표는 재차 이 지사가 ‘김건희 논란’과 관련해 “윤 전 총장에게 책임을 물을 수는 없는 영역”이라고 언급한 데 대해서는 “그런 식의 논리라면 대통령 되기 전의 일은 묻지 말자는 얘기하고도 통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전 대표뿐 아니라, 민주당 대선주자 중 한 명인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역시 “윤 전 총장의 부인 김씨는 일반 시민이라기 보다는 공인에 가깝다”며 “그렇기에 엄격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추 전 장관은 12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김씨의) 프라이버시를 검증하자는 게 아니다”라며 “재산형성 과정 등을 묻겠다는 것으로 거기에 있었던 불법여부, 학사업무 방해여부, 이런 것들에 대해선 답을 해야 한다. 일단 공적 무대에 등장을 하는 순간 그냥 보통 사람의 부인 프라이버시하고 다르다”고 주장했다.

◆“그럼 이재명·추미애는?”…여권 공세에 맞불작전 편 尹
윤 전 총장 측은 김씨를 둘러싼 논문 논란이 불거지자 이 지사와 추 전 장관 등 민주당 대권주자의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한 해명을 공개요구하며 맞불작전에 들어갔다.
윤 전 총장 대변인실은 지난 9일 취재진에 “김씨 결혼 전 논문 문제는 해당 대학 조사라는 정해진 절차를 통해 규명되고 그 결과에 따를 문제”라며 “여당은 자당 대선 후보들 본인의 논문 표절에 대해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윤 전 총장 대변인실은 재차 “여당의 대선 후보와 최고위원 등은 (윤 전 총장이) 결혼하기도 한참 전인 2007년도 배우자 논문을 직접 평가하면서 ‘검증대상’이라는 입장을 밝혔다”며 “공당이라면 배우자가 아닌 ‘이재명·추미애 등 자당 유력 대선후보들 본인의 논문표절 의혹’에 대해서는 보다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승준 기자 dn1114@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