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기업 데이터 공유·결합 생산체계 구축 지원
복지부, ‘보건의료 데이터‧인공지능 혁신전략’ 마련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선임기자] 오는 2025년까지 100만명 규모의 통합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 등 바이오, 병원 임상기록, 공공보건의료데이터를 중심으로 3대 원천 데이터 플랫폼 완성이 추진된다.
또 보건의료 데이터·인공지능(AI) 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해 건강보험 등 공공데이터 개방 건수가 연 1000건에서 5000건으로 확대되고 한국인 특화 빅데이터가 단계적으로 구축된다.

이와 함께 병원과 기업 간 데이터를 공유·결합해 생산체계 구축을 지원하는 한편, 폐쇄적이고 독점적으로 활용돼 민간에서 접근이 어려웠던 병원 임상데이터는 기업-학계-연구기관-병원 공동으로 연구를 활성화 한다.
보건복지부는 2025년까지 5개년 계획이 담긴 ‘보건의료 데이터·인공지능 혁신전략’을 수립해 3일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26차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 보고했다.
건강보험 등 공공데이터와 병원 임상 등을 포괄하는 보건의료 데이터는 의료기술 혁신이나 바이오헬스 산업에서 활용 가치가 높지만, 낮은 데이터 표준화·품질관리, 개인정보 침해 우려 등으로 실제 활용도는 낮은 실정이다.
정부는 최근 ‘데이터 3법 개정’, 개인정보 활용 관련 사회적 인식이 성숙되고 디지털 뉴딜 핵심과제 반영으로 데이터 활용을 위한 정책 추진동력이 확보됐다고 판단했다. 이번 혁신전략을 통해 데이터 생산, 집적, 활용 전주기에 걸친 3대 분야 9대 핵심과제를 추진한다.
우선 양질의 데이터 생산을 위해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 유방암 등 한국인 호발암종, 개인생성건강데이터(PGHD) 등 현장 요구가 많고 활용성 높은 분야를 우선 표준화해 병원, 기업 등 다양한 기관이 사용하는 데이터를 공유,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 건강보험 등 공공데이터 개방 건수를 현재 연 1000건에서 2025년까지 5000건으로 확대하고 ‘K-캔서(Cancer)’ 등 한국인 특화 빅데이터를 단계적으로 구축해 질환 예측모형 개발 등 다양한 임상연구, 맞춤형 질병치료를 촉진하는 핵심 의료데이터를 개방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오는 2025년까지 유전체 등 바이오, 병원 임상기록, 공공보건의료데이터 중심으로 3대 원천 데이터 플랫폼을 완성할 계획이다.

100만명(희귀질환 10만명, 암 10만명, 난치질환 20만명, 만성질환자 및 건강인 60만명) 규모 통합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해 맞춤형 치료·정밀의료 등에 활용하고 임상·유전체·건강보험·개인건강기록(PHR) 등과 연계해 국가 전략자산화를 추진한다.
폐쇄적·독점적으로 활용돼 민간에서 접근하기 어려웠던 병원 임상데이터는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을 기반으로 산·학·연·병 공동 연구를 활성화한다.
데이터 활용성과를 가속화하기 위해 데이터 중개·분양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데이터 제공기관과 활용기관을 중개해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컨설팅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주요 공공기관, 의료데이터중심병원 등을 '안심분양센터'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산업화 지원을 위해서는 의료 AI 스타트업에 대한 전주기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병원 중심 의료 AI 특화 개방형 실험실 구축·운영 등 우수한 AI 모델에 대한 다양한 임상 실증과 창업을 지원하는 동시에 의료 AI 연구개발 투자도 확대한다.
정부는 이 같은 3대 핵심분야 과제가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법제 정비, 민‧관 합동 정책거버넌스를 구축 운영할 계획이다.
민감한 보건의료데이터의 특성을 반영하고, 개인의 권리보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하고, 의료 AI 윤리 원칙 수립 등을 통해 민감정보 활용에 대한 사회적 우려를 해소한다.
법제 정비는 △정보주체 권리 및 동의체계 △정보보호 △데이터 개방‧연계‧통합 근거 △거버넌스 △통합데이터인프라 등 안전한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정부는 사회적 공감대와 신뢰 기반의 민관 합동 정책 거버넌스를 가동함으로써 보호와 활용 간 균형잡힌 추진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권덕철 복지부 장관은 “의료데이터의 안전한 활용 생태계를 갖추는 것은 환자 치료 등 의료혁신, 신약개발 등 산업혁신, 국민 권익 증진 등 사회혁신을 가속화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중장기 관점에서 수립된 이번 혁신전략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역량과 자원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홍성익 기자 hongsi@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