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재생에너지 단계적 도입…RE100 달성 노력
사옥 및 IDC 등에 대한 고효율/에너지 저감 기술 확대
네이버가 '2040 카본 네거티브'를 위한 실행 로드맵을 공개했다. 사진은 2023년 완공 예정인 네이버 제2 IDC ‘각 세종’ / 사진=네이버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네이버가 ‘2040 카본 네거티브(Carbon Negative)’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로드맵을 밝혔다. 재생에너지 도입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2040년까지 온실가스 순 배출량을 제로화한다는 계획이다.

네이버는 28일 데이터사용량 확대에 따라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 증설로 10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하고 기후변화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목적으로 ESG 환경 부문의 구체적 실행 방안을 마련했다.

이번에 발표한 로드맵의 골자는 회사가 배출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99% 이상을 차지하는 전력 사용을 100% 태양광, 풍력, 태양열, 지열 등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에 있다.

네이버는 로드맵에 따라 2030년까지 IDC, 사옥 등에서 사용되는 전력의 6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고, 지속적인 도입 확대를 통해 2040년까지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본사 사옥인 그린팩토리와 춘천에 위치한 IDC ‘각 춘천’은 태양광 등 발전 설비를 고효율화하고 에너지 저감이 가능한 구조로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다. 또 2021년에 완공될 예정인 제2사옥은 지열과 태양광 에너지 사용을 확대하고 2023년 완공 예정인 제2 IDC ‘각 세종’에는 친환경 외기 냉방 시스템을 도입한다.

네이버는 에너지의 효율적 관리/운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동시에 탈탄소 기술과 발전소 투자를 통해 국가 차원의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보다 10년 앞서 카본 네거티브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네이버는 국내 재생에너지 개발과 자가 발전 여건을 고려해 간접 개발과 투자를 병행하는 PPA(제3자 전력구매)도 적극 확대 진행할 예정이다.

코로나19로 디지털 전환 흐름이 가속화되며 전력 사용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이 빠르게 증가할 상황에서 온실가스 배출 대부분이 전력 사용에서 나오게 되는 IT업종의 특성을 고려해 자가 발전 시설 확충 및 에너지 저감 기술 도입해 간접 개발 투자 등 재생에너지 도입을 확대하겠다는 의미다.

ESG 환경 부문을 책임지고 있는 임동아 네이버 책임리더는 “ESG 경영을 선도하고 있는 인터넷 기업으로서 글로벌 리딩 사업자 수준의 로드맵 수립과 실행으로 전계적인 재생에너지 생산 및 사용 확대 추세에 동참하고 탄소중립 사회 전환에 기여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네이버는 환경경영시스템의 국제 표준 기준인 ISO14001을 도입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전사 차원의 환경경영 방침도 마련할 계획이다.

김재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