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현장에 도움 되는 상품 개발에 투자 아끼지 않을 것”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디지털 치료제 개발 스타트업 ‘하이’가 초등학생들의 정신 건강관리를 위해 나선다.
하이는 지난 6일 대구광역시교육청 여민실에서 대구광역시교육청과 글로벌 향 아동 자기조절능력 향상 디지털 치료제 개발 협약을 체결했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ADHD(주의력 결핍) 등 자기조절능력 결여로 발생하는 아동들의 마음 건강을 보살피기 위해 하이와 ICT(정보통신기술)기술을 교육현장 접목하고자 하는 대구광역시 교육청의 요구가 상호 부합해 성사됐다.
하이와 대구광역시 교육청은 이번 협약을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정신건강관리를 지원해 학교에서의 인성교육을 증진시킨다는 방침이다.
화이와 대구광역시 교육청은 향후 3년간 상품 개발을 진행하고 이후 3년간 개발 완료된 디지털 치료제 ‘뽀미”를 대구 교육청 산하 초등학교 전체 학생에게 무상(약 600억 규모)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뽀미’는 하이에서 개발 중인 ADHD 등 자기조절능력 결여를 치료하는 디지털 치료제이다. 본 상품 개발과정에는 신의진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와 정운선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의료 자문으로 참여하며 온.오프라인 심리치료 전문 ‘MBI Clinic Center(클리닉 센터)’가 ‘Noox바이오’와 협력해 ADHD 선별 검사인 CNT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강은희 대구광역시 교육감은 “음성 AI(인공지능)를 활용한 ‘뽀미’와 같은 상품은 아동들에게 긍정적 습관 형성을 도와 학생과 부모, 선생님들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진우 하이 대표는 “대구광역시 교육청의 지원으로 세계적인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다”며 “아동들과 부모님들 그리고 교육 현장에서도 도움이 되는 상품을 조기에 개발할 수 있도록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김재훈 기자 rlqm93@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