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시장 1,2위 삼성·SK 주력 메모리 반도체, 2분기 동반 가격상승 전망
트렌드포스 "D램 13∼18%, 낸드 3∼8% 가격 상승 예상"
[평택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오), SK하이닉스 M16 준공식. 사진=삼성전자, SK하이닉스]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삼성전자(삼성)와 SK하이닉스(SK) 등 한국 기업의 주력 반도체인 메모리 반도체(D램‧낸드플래시) 가격이 2분기 동반 상승할 것이란 예상이 나오면서 올해도 한국 반도체 호황은 이어질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18일 대만의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올해 2분기 낸드플래시 고정거래가격이 1분기 대비 3%에서 8% 인상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트렌드포스는 “PC 제조사와 중국 스마트폰 기업들의 주문이 이어지고 있고, 데이터센터도 재고 확보에 나섰다”며 “낸드플래시 컨트롤러 공급 부족으로 SSD 등 완제품에 대한 재고 확보 움직임도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삼성 미국 오스틴 공장이 지난달 한파로 전력이 끊긴 이후 한 달간 셧다운 사태가 지속되면서 낸드플래시 컨트롤러 수급에 차질이 생겼고 이로 인해 낸드플래시 가격이 예상보다 더 상승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다만 1분기 경우 공급과잉 상황이 이어지면서 작년 4분기보다 가격이 5%에서 1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D램도 본격적인 가격 상승이 이뤄지면서 1분기 3%에서 8%, 2분기 13%에서 18% 인상될 것으로 예상됐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C인사이츠도 이에 앞서 올해 D램과 낸드플래시 매출이 각각 18%, 17%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전체 반도체 제품 중 성장률 1,2위를 기록할 것이란 분석이다.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도 올해 메모리 반도체 매출액이 지난해보다 13.3% 증가해 전체 반도체 제품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국내 반도체 기업은 이번 전망 속에 올해도 큰 호황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기업들은 차별화된 기술력과 공정 과정으로 글로벌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4분기 매출 기준 전 세계 D램 시장 점유율은 삼성이 42.1%로 1위, SK가 29.5%로 2위에 올랐다. 낸드플래시 역시 삼성이 32.9%로 1위이고, SK는 인수를 앞둔 인텔 낸드 사업부와 합산하면 20%대 점유율로 2위이다.

삼성 DS 부문장 김기남 부회장은 전날 정기 주주총회에서 “D램 업계 최초로 EUV(Extreme Ultra Violet, 극자외선) 공정 양산 체제를 구축하고 6세대 V낸드 전환을 가속화하는 등 차세대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며 미래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메모리는 4세대 10나노급 D램, 7세대 V낸드 개발로 선단 공정에 대한 기술 격차 확대에 주력할 것”이라며 “데이터센터와 HPC 등 고성장 시장 선점을 위한 제품 차별화로 주도권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고 전했다.

SK도 국내외 최대 반도체 생산 시설 M16을 통해 메모리 반도체 생산과 기술 연구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M16에는 SK 최초로 EUV 노광 장비가 도입돼 최첨단 인프라를 기반으로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키워낼 계획이다. 

SK는 EUV 장비를 활용해 올해 하반기부터 4세대 10나노급(1a) D램 제품을 생산할 예정이다. 향후 이 장비의 활용도를 더 높이면 메모리반도체 미세공정 기술 리더십도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전했다.
 

김재훈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