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제조업의 기저효과와 코로나19 영향 서비스업 생산 감소로 1월 산업 생산이 전월 대비 감소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1월 전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전월 대비 0.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5월 이후 8개월 만에 감소한 것이다.
산업생산은 지난해 6월(3.9%)부터 7월(0.3%), 8월(0.1%), 9월(1.1%), 10월(0.1%), 11월(0.9%), 12월(0.4%)까지 상승흐름을 타다 1월 들어 다시 떨어졌다.
이는 제조업 생산이 1.7% 감소해 광공업 생산이 1.6% 줄어든 영향이 컸다. TV용 LCD 관련 품목 생산 둔화에 전자부품이 9.4% 감소를 기록했고 기타 운송장비도 12.4% 줄었다.
특히, 제조업 생산이 감소한 것은 3개월 만으로, 전월인 지난해 12월(2.7%) 증가 폭이 컸던 만큼 기저효과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월 대비 감소세를 보인 제조업 생산은 전년 대비 7.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출 호조가 이어지며 반도체(0.3%) 역시 한 달 전보다 증가했지만 증가세는 12월(11.6%)에 비해 빠졌다. 반도체는 전년 동기 대비로는 19.6% 증가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지난해 12월에는 반도체가 광공업 생산 증가의 주된 요인이었으나 1월에는 반도체 증가세가 일부 둔화했다"며 "이 영향에 제조업 생산도 한 달 전보다 감소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서비스업 생산은 0.2% 줄어 전월(-1.1%)에 이어 두달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으나 감소폭은 줄었다. 또 금융·보험(1.3%), 정보통신(0.7%)에서 증가세를 보였지만, 예술·스포츠·여가(-15.4%), 도소매(-0.8%) 등이 감소했다.
한편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은 1.6% 증가했으며 전월에 이어 두 달째 증가세를 보였다. 증가 폭은 2020년 8월(3.0%) 이후 최대다.
이 같은 결과는 코로나19에 실내 생활이 늘어나고 겨울 한파의 영향으로 가전제품 등 내구재(4.8%), 의복 등 준내구재(1.0%) 판매가 늘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의약품 등 비내구재는 -0.1%로 전월대비 감소했다.
어 심의관은 "코로나 재확산이 이어지는 가운데 서비스업 생산이 줄었고 광공업 생산도 지난달 기저효과로 다소 위축된 모습이었지만, 한파에 따른 가전제품 판매 증가로 소비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김재훈 기자 rlqm93@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