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양지원 기자] 서울시 문화재단이 18일 포스트코로나 시대 변화에 맞춰 올 해 6대 문화예술 주요 정책사업을 발표했다. 총 1079억 원을 투입한다.

6개 사업은 ▲ 창작 지원 ▲ ‘서울예술지원시스템(SCAS)’ 도입 ▲예술가 육성 사업 ▲청소년부터 전문가까지 맞춤형 융복합 창‧제작사업 ▲서울거리예술축제 방식 변화 ▲예술인 참여형 거버넌스 공간 ‘예술청’ 개관 등이다.

먼저 예술기반지원사업 공모는 창작준비지원(300만 원), 임차료 지원(최대 1000만 원) 등을 통해 창작구상~준비~진행 전 과정을 지원한다. 창작 구상과 준비를 돕는 ‘리:서치’(구 ‘창작준비지원’)는 300명에게 300만 원의 시상금을 지원한다. 작업실, 연습실, 복합문화공간 등으로 구분했던 공간지원은 ‘창작예술공간지원’으로 통합해 평균 400만 원(최대 1000만 원)의 임차료를 지원한다. 기록ㆍ연구ㆍ매개ㆍ실연ㆍ비평 등을 지원하는 ‘우수예술작품기록’ ‘예술전문서적발간지원’ ‘예술인연구모임지원’은 모두 1000만 원씩 지원한다.

재단은 “예술가 입장에서 지원방식을 단순하게 설계했다. 동시에, 장르별 심사위원 풀을 확대해 전문성을 높이고 각종 제척사항에 대한 확인을 강화해 절차의 투명성을 높이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공연장 내 객석 거리두기로 인해 발생하는 공연예술계의 수입 감소를 보완해주는 ‘포르쉐 두 드림(Do Dream) 사이 채움’ 사업도 26일시작한다. 소규모 공연예술 단체와 제작사를 우선적으로 선정하며, 35개 팀 내외를 선정해 각각 500만 원씩 지원한다.

서울문화재단은 매년 130여억 원 규모로 계속해오고 있는 예술지원사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지원을 받는 예술가도 편리하게 신청‧정산할 수 있도록 ‘서울문화예술지원시스템(SCAS)’을 구축했다. 22일 시스템을 오픈하며, 다음 달 8일 시작하는 ‘예술기반지원사업’ 공모부터 이 시스템을 통해 이뤄진다.

또 향후 ‘서울문화예술지원시스템(SCAS)’을 예술인 커뮤니티, 아카이브, 대관, 예매 등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자치구 내 지역문화재단, 장기적으로는 전국 17개 시도 광역문화재단의 예술지원사업을 공유하는 시스템으로 활용되도록 확대를 추진한다.

‘과정’ 중심의 예술가 육성사업은 작품이나 전시 같이 결과물에 지원금을 지급하는 방식이 아니라, 예술가의 지속적인 ‘개발과 성장’에 초점을 맞춘 간접지원 방식을 선보인다.

AI 등 디지털 기술과 예술을 접목한 ‘융복합 창작‧제작’을 지원하는 사업도 새롭게 추진한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예술계의 변화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K컬처, K아트의 미래 주인공을 키운다는 목표다.

'서울거리예술축제'의 경우 새로운 축제 모델로 전환한다. 축제가 갖는 현장성은 유지하되 시민들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고려해 기존 서울광장, 광화문광장, 청계광장 같은 대형 공공공간에서 벗어나 권역별로 분산해 개최한다. 축제 시기도 각종 행사가 집중되는 10월을 피해 8월 말~9월 초로 앞당기고, 개최 기간은 늘린다.

대학로 '동숭아트센터'는 오는 6월 말 예술가들이 주체적으로 운영에 참여하는 협치형 공간인 '예술청'으로 다시 태어난다. '예술청' 지하에는 오는 2022년 상반기에 240석 규모의 중소 규모 공연장 '블랙박스 공공'(가칭)이 문을 연다.

사진=서울시 제공 

양지원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